박성지 대전보건대 교수가 12일 오전 10시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 룸에서 진행된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설명회”에서 ‘급발진 의심 사고 분석절차’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박성지 대전보건대 교수가 12일 오전 10시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 룸에서 진행된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설명회”에서 ‘급발진 의심 사고 분석절차’ 주제 발표를 하고 있다.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컨슈머와이드-전휴성 기자] “당신이 밟고 있는 것이 지금 가속 페달일 수 있다이는 12일 오전 10시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 룸에서 진행된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설명회에서 박성지 대전보건대 교수가 한 말이다.

이날 박성지 교수는 급발진 의심 사고 분석절차주제 발표를 하면서 급발진 의심 현상은 가속케이블 고착, 플로어매트 간섭, 엔진오일의 흡기 유입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지만 급발진 의심 사고 대부분은 페달 에러가 대부분이라면서 브레이크를 밟으면 차는 앞으로 나가가지 않는다. 100% 정차한다. 그런데 브레이크를 밟았는데 웅웅거린다고 브레이크를 밟는다는 것이 가속페달을 밟으면 차가 막 질주하는 케이스가 많다. 페달 오류는 큰 사고로 이어진다.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는 반드시 휴먼 에러(Human Error)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급발진이 발생하면 대부분 대처하지 못한다. 급발진 현상은 어떤 사람이 단순히 실수한 것이다. 실수에서 시작됐는데 대처하지 못해서 그냥 죽는다라면서 어떻게 하면 되나?, 그냥 브레이크를 밟으면 된다. 당신이 지금 밟고 있는 것이 가속페달 일 수 있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내가 잘못 밟았나, 생각하고 양발로 브레이크를 밟으면 된다라고 강조했다.

박성지 대전보건대 교수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박성지 대전보건대 교수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박 교수는 스키드 마크 급발진 사고는 넌센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일각에서는 스키드 마크가 있는 급발진 사고를 이야기한다. 스키드 마크가 생겼다는 것은 바퀴가 회전을 멈춘 상태로 도로와 접지해 앞으로 간 것을 말한다. 바퀴가 회전을 멈췄다는 것이기 때문에 차는 멈춰선다. 그런데 거기서 알수 없는 힘으로 차가 앞으로 나아갔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그건 넌센스다. 급발진의 경우 스키드 마크가 없다라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마지막으로 급발진 의심 현상은 운전 경력과 무관하게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은 휴먼 에러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이에 따른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급선무라면서 당신이 밟고 있는 것이 지금 가속 페달일 수 있다. 급발진이 만약에 발생했을 때 내가 잘못 밟았나 그 생각만 해도 소중한 생명을 살릴 수 있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저작권자 © 가치소비뉴스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