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와이드-강진일 기자] SK텔레콤(이하 SKT) 이용자의 유심 관련 일부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이 발견됐다. 사유는 악성코드 때문이다. 현재 SK텔레콤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하는 한편, 악성코드 즉시 삭제, 해킹 의심 장비 격리 조치 등을 취한 상황이다. 현재까지 해당 정보가 실제로 악용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SKT 고객은 무료로 제공되는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해 자신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이는 통신 가치소비다.
22일 SKT에 따르면, 지난 19일 오후 11시경 악성코드로 인해 SK텔레콤 고객님의 유심 관련 일부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이 발견됐다. 이에 SKT는 유출 가능성을 인지한 후 해당 악성코드를 즉시 삭제하였으며, 해킹 의심 장비도 격리 조치했다.
이와 함께 관련 법률에 따라 지난 20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침해사고 사실을 즉시 신고했다. 22일 오전 10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개인정보 유출 정황을 신고하고 관련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SKT는 정확한 유출 원인과 규모 및 항목 등을 지속적으로 파악 중이라면서 지금까지 해당 정보가 실제로 악용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고객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 전수 조사 ▲불법 유심 기변 및 비정상 인증 시도 차단 강화 ▲피해 의심 징후 발견 시 즉각적인 이용 정지 및 안내 조치 강화 등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불안한 고객을 위해 SKT는 홈페이지와 T월드를 통해 유심보호서비스(무료)를 제공 중이다.
SKT는 “앞으로 이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보안 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고객 정보 보호 방안 마련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다시 한번 고객님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