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S(한국전자전)2024 현장에서 엣지 크로스 관계자가 부스 방문자들에게 자사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컨슈머와이드 강진일 기자
KES(한국전자전)2024 현장에서 엣지 크로스 관계자가 부스 방문자들에게 자사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컨슈머와이드 강진일 기자

[컨슈머와이드-강진일 기자] 우리나라는 대규모 공장보다 중소 규모의 공장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일손 구하기 어렵고 ESG도 해야 하는 현실 때문에 온갖 첨단기술이 적용돼 있다는 '스마트 공장'을 만들고도 싶지만 이런 바람은 '꿈'에 가깝다. 비용문제 등 감당해야 할 것들이 많아서다. 

이러한 사장님들을 위해 '낡고 오래된 기계를  AI 머신으로 탈바꿈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지원한다는 기업이 있어 눈길을 끌었다. KES(한국전자전)2024 현장에서 만난 전소미 엣지 크로스 부장은 "저희는 적은 비용으로 기존 기계를 스마트 머신으로 이용하실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 드리고 있다. 스마트 공장, 어렵지 않다"면서 "저희 서비스를 이용하시면 기술의 가치소비, ESG를 위한 가치소비가 될 것이라고 자신한다"고 밝혔다. 

낡고 오래된 기계 AI머신으로 탈바꿈 가능.. 효율적인 기술의 가치소비이자 ESG의 가치소비 가능

 

 KES(한국전자전)2024 현장의 엣지 크로스 부스 ⓒ컨슈머와이드 강진일  기자
 KES(한국전자전)2024 현장의 엣지 크로스 부스 ⓒ컨슈머와이드 강진일  기자

Q.  엣지 크로스는 어떤 업체인가?

A. 저희는 기존 기계를 특별한 통신이나 어떤 별도의 설비 투자 같은 것을 하지 않으시고도 저희 디바이스를 연동하시면 기존 기계를 스마트 머신으로 이용하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기계에서 나오는 데이터가 굉장히 다양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 팩토리라든가 그 이후의 작업들이 가능하게 되는데 기존 기계 즉 최신 설비가 아닌 경우에는 데이터를 가져오기가 좀 어렵고,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서 비용이라든가 시간, 인력 문제가 현장에서는 굉장히 어려운 문제라고 저희는 알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해 드리는 업체다. 

Q. 엣지 크로스의 장점을 말해준다면? 

A. 저희 디바이스와 기존 기계의 제어기라든가 PLC 하고 연동을 하게 되면 기계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별도의 설비 없이도 무선으로 바로 저희가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을 해드리기 때문에 현장에서 쉽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걸로 쉽게 기계 데이터로 현황을 모니터링하실 수 있다. 

또 간단한 원격 제어 같은 것들을 하면서 현장에 사람이 없거나 조금 여의치 않은 환경에서도 바로바로 기계를 제어하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실제로 국내 중소규모의 공장에서 굉장히 많이 활발하게 사용하고 계신 제품이다. 

Q. 실제 현장에서의 반응은 어떤가?

A.  현장의 반응은 '좋다'라고 감히 말씀 드리고 싶다. 데이터의 중요성이 부각이 되면서 현장에 계신 분들도 데이터로도 중요하다는 것을 많이들 실감하고 계신다. 이런 것들을 좀 잘 하고 싶은 생각은 있는데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팩토리는 너무 거대한 공정을 해야 된다고 생각하시고 실제로 그런 위주의 사업이 많다 보니까 이런 점을 좀 걱정하셨는데 시험 삼아서 한두 대 먼저 도입해 보시고 확장하는 경우도 있었다. 저희가 보기에는 대표님들이 직접 사용해 보시니 비교적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판단해 주시는 것 같다. 

사용료 부분에 있어서도 크게 부담되는 수준은 아니라서 현장에서 반응이 좋다.  1년 치의 사용료는 처음에 디바이스 구매할 때 포함이 되어 있어서 따로 신경 안 써도 되고 그 이후에는 월 단위로 구독 단위로 몇 만 원 정도, 디바이스 한 대당 몇만 원 정도 든다. 대규모가 아니라면 사실은 크게 부담이 되는 수준은 아니다. 

Q. 엣지 크로스를 이용하면 공장 운영자 입장에서는 어떤 가치소비가 가능할까?

A. 저희는 공장이란  한두 달 하다가 그만 두시는 것이 아니고 계속해서 확장해 나가고 하셔야 되는데 그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이미  가지고 계신 것들에 대해서 최대한 효율을 내는 것이 중요하고 기계를 좀 스마트하게 활용하셔야지 거기에서 나오는 비용이 줄어든다고 본다. 

그래서 물론 초반에는 저희 제품에 대해서 비용을 좀 투자하신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데이터가 축적되면서 거기에 따라서 따라오는 것들, 예를 들어서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비용이라든가 인력 같은 것들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하므로 직원들의 만족도도 높일 수 있다. 왜냐하면  2교대를 하실 때 3교대를 하실 때  좀 그런 부분들이 원격으로 가능한 부분들이 있어서 실제로 저희 고객사분 중에 한 분은 아예 무인으로  하면서 직원들이 재택 근무 하는 것처럼 이용하시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이게 인력을 감축해라 이런 얘기가 아니라 인력들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이용하실 수 있다는 말이다.

결론적으로 저희를 선택하시면 적은 비용으로 낡고 오래된 기계 AI머신으로 사용하하시므로 소비지만 가치투자라고 생각한다. 즉 효율적인 기술의 가치소비이자  ESG의 가치소비가 모두 가능하다고 본다. 멋지지 않은가 (웃음). 

 

 

저작권자 © 가치소비뉴스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