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탄산음료 등에 들어가는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행인 것은 국내서 판매되는 한국 코카콜라 제품에는 해당 성분이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반면 팹시에는 사용됐다. (사진:강진일 기자)

[컨슈머와이드-강진일 기자]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탄산음료 등에 들어가는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행인 것은 국내서 판매되는 한국 코카콜라 제품에는 해당 성분이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반면 팹시에는 사용됐다. 따라서 국내 제로 탄산음료 시장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제로 탄산음료 시장에 아스파탐 첨가 여부가 가치소비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29(현지시간) IARC는 내달 14일 아스파탐을 '사람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할 것이라고 밝혔다. 1965년 발견된 아스파탐은 설탕의 200배 단맛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최근 '제로'가 붙은 무설탕 음료, 무설탕 캔디와 껌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현재 IARC는 화학물질 등 여러 환경 요소의 인체 암 유발 여부와 정도를 5개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아스파탐이 분류된 2B군은 인체 관련 자료가 제한적이고 동물 실험 자료도 충분하지 않은 경우다.

WHO 산하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IARC와 같은 날 안전 소비기준을 발표한다. JECFA는 아스파탐이 허용된 일일 한도 내에서 섭취해도 안전하다고 밝혀왔다. 체중이 60인 성인은 음료에 함유된 아스파탐의 양에 따라 매일 12~36캔의 다이어트 탄산음료를 마셔야 위험에 처할 수 있다. IARC가 아스파탐을 2B군으로 지정하면 JECFA의 기준에도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국내 제로 탄산음료 시장이 큰 타격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건강을 생각하는 가치 소비자들이 설탕이 들어있는 탄산음료 대신 제로 탄산음료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최대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국내 탄산음료 시장규모는 제로에 힘입어 20212분기 과일주스 시장을 추월했다. 올해 1분기 탄산음료 비중은 57.5%. 제로 탄산음료 구매 비중은 202132.5%에서 202338.3%로 증가했다. 특히 국내 제로 음료 매출 212억 원 중 코카콜라 제로 매출이 20.8%(419억 원)을 차지하며 제로 탄산음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제로 음료 제품 라인업도 다양해지며 제로 탄산음료에 대한 소비자 관심도 급격히 증가했다. 엠브레인 트레인 모니터에 따르면 제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 관심은 202334.8%로 전년 대비 7.3%p 증가했다. 제로 트렌드 확산에는 탄산 고유의 맛을 충족시키는 것은 물론 건강도 챙길 수 있다는 것이 핵심 포인트로 작용했다고 아이지에이웍스는 분석했다.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으로 인해 국내 제로 탄산음료 시장의 대표 브랜드인 코카콜라와 팹시의 명암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코카콜라 제로 등 코카콜라 제품에는 문제의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이 사용되지 않았다. 반면 롯데칠성의 팹시 제로에는 해당 감미료가 사용됐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이날 컨슈머와이드의 취재에서 한국에서 생산되는 코카콜라 전 제품에 아스파탐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가치소비뉴스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