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쿠팡

[컨슈머와이드-강진일 기자] 쿠팡의 직매입 새벽 배송이 농가와 소비자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농가에게는 안정적 판로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는 신선한 채소를 합리적 가격에 공급해 장바구니 물가 안정에 공을 세우고 있는 것. 이것이 쿠팡의 상생이다. 쿠팡의 직매입 새벽배송이 소비자에게는 합리적 가치소비다.

18일 쿠팡에 따르면, 쿠팡이 최근 3년간 전국 농가에서 무·버섯·당근·파프리카·애호박·오이 등 약 20종을 직매입해 새벽 배송으로 선보인 못난이 채소누적 규모가 8천 톤을 돌파했다.

쿠팡은 못난이 채소를 본격적으로 매입하기 시작한 첫해인 20231500, 지난해 3700,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2800톤 이상을 전국 지역 농가에서 직접 매입했다. 최근 3년간 누적 규모는 8천 톤을 넘어섰다. 쿠팡의 못난이 채소 매입 지역은 강원 평창·정선·태백·홍천, 충북 괴산, 충남 논산·부여, 전북 고창, 전남 해남·함평·화순, 경북 상주·의성 등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인구 감소 지역이 대거 포함됐다. 쿠팡은 이를 포함해 제주까지 전국 수백개 농가의 못난이 채소를 매입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쿠팡
ⓒ쿠팡

농가들은 쿠팡과의 거래가 안정적인 농가 경영에 큰 힘이 된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경기 용인의 군자농원측은 버섯 작황이 나쁠 땐 판로가 없어 헐값에 넘겨야 했지만, 쿠팡 덕분에 올해 10월까지 못난이 표고버섯이 쿠팡 납품량의 30%를 차지했다물류비 절감으로 고용도 지난해보다 20% 이상 늘었다고 말했다.

충남 당진의 그린팜 영농조합정칠화 대표는 쿠팡의 대규모 매입으로 판매가 어려웠던 못난이 무가 효자 상품으로 자리 잡았다든든한 판로가 되어준 쿠팡 덕분에 매출이 늘고 농가 경영이 안정됐다고 밝혔다.

쿠팡의 못난이 채소는 소비자의 합리적 가치소비로 이어지고 있다. 못난이 채소는 외형이 규격에 맞지 않아 일반 유통에서 제외되지만, 신선도와 맛에는 차이가 없다. 쿠팡은 이러한 채소를 직매입해 평균 20%가량 저렴한 가격에 제공해 고물가 시대 합리적 소비를 원하는 고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산지에서 직매입한 채소를 자체 물류센터에서 검수·포장 후 로켓프레시 새벽 배송으로 오전 7시까지 고객에게 전달하고 있다. 워킹맘을 비롯한 주부들이 아침 식탁을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밖에 없다.

쿠팡의 못난이 채소는 가성비와 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합리적 가치소비 선택지로 각광받고 있을 뿐 아니라 고객 인지도가 낮은 다양한 농가 채소들이 새롭게 조명받는 기회로 자리매김하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국회의원(나주·화순)"쿠팡의 못난이 채소 매입은 인구감소지역이 많은 전남 농가의 물류비 부담를 줄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모범 사례"라며 "쿠팡의 물류·기술 역량이 농가 지원의 기반이 되어 선순환 구조를 만든 만큼, 앞으로도 전남을 포함한 산간·농촌 중심으로 협력 농가 확대가 활발히 추진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쿠팡은 향후 산간 및 농촌 지역 중심으로 협력 농가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쿠팡 관계자는 쿠팡의 물류와 기술 역량이 농가 지원의 기반이 되고 있다앞으로도 지역 농가의 안정적인 판로를 넓히고, 고객에게는 신선하고 합리적인 먹거리를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가치소비뉴스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