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와이드-강진일 기자] SK텔레콤(SKT)이 국방 역량 강화에 힘을 보탠다. 상용망 기술을 군 통신에 적용해 드론의 작전 반경 확대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SKT가 코난테크놀로지, 콘텔라, 플랙토리와 통신 중계 드론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는 통신 국방 가치소비다.
15일 SKT에 따르면, 통신 중계 드론은 공격·정찰용 드론이 작전 반경을 넓힐 수 있도록 통신이 어려운 지역 등에서 무선통신을 이어주는 중계기 소임을 수행한다. 현재 군에서는 이음 5G 주파수를 활용해 통신 중계 드론을 구현하고 있다. 다만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고(高)주파수 특성상 작전 반경이 제한돼, 이를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드론의 작전 반경 확대를 위해 이번 협약에 참여한 기업들이 개발하는 통신 중계 드론은 상용망의 800MHz 등 저(低)주파수를 활용할 계획이다. 800MHz 등 저(低)주파수를 활용하면 전파 도달 거리를 대폭 확대할 수 있고, 우수한 회절성으로 장애물이 많은 도심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전 반경을 확보할 수 있다. 통신 중계 드론 간 핸드오버(이동통신망에서 단말기가 연결된 기지국의 서비스 공간에서 다른 기지국의 서비스 공간으로 이동할 때 단말기가 다른 기지국의 통화 채널에 동조해 끊김 없이 서비스하는 기능) 기술을 적용해 복수의 중계 드론을 교대로 운영하면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통신 중계 드론 한 대가 격추되더라도 공격·정찰용 드론은 다른 통신 중계 드론에 접속할 수 있다.
특히 SKT는 무선 회선, 핸드오버 기술 및 실시간 영상 관제를 담당한다. 장거리 전송이 가능한 저주파수 대역과 실시간 영상 관제 시스템인 T라이브캐스터(T live caster)를 결합해 작전 드론의 실시간 영상을 후방 드론 조종사에게 전송한다.
SKT 관계자는 “이번 사업협약을 계기로 각 사의 독보적인 솔루션에 기반한 군 통신 중계 드론을 구현해 드론의 작전 반경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상용망 기술을 군 통신에 적용해 국방 역량 강화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