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와이드-강진일 기자] 2일 A씨는 SK텔레콤(이하 SKT)이라고 밝힌 곳으로 부터 전화를 받았다. 자신을 상담사라고 밝힌 그는 A씨에게 신폰으로의 교체를 권유했다. 기기 변경을 하라는 것이었다. 최대 100만 원 지원금 이야기도 했다. A씨가 아직 유심도 교체하지 못했는데 무슨 기기 변경이냐고 따져 묻자 그는 바로 전화를 끊어 버렸다. A씨 사례처럼 최근 SKT 판매점으로 추정되는 판매자들이 기존 SKT 고객을 대상으로 기기 변경 등 공격적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 문제는 A씨 사례처럼 유심 교체도 받지 못한 상황에서 기기 변경을 권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제보자 A씨는 “처음에는 유심 교체 안내 전화인 줄 알았다. 유심 교체 첫날 오후에 예약을 했는데 아직도 유심 교체를 받으라는 안내를 받지도 못했다. 그런데 SKT라면서 기기 변경을 권유했다”라면서 “지금 번호이동을 할지 말지 결정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슨 기기 변경인지 모르겠다. 그럴 시간이 있으면 고객 한 명이라도 유심 교체에 신경써야 하는 것 아니냐”고 불만을 드러냈다.
실제로 이같은 권유에 기기 변경을 한 제보자도 있다. 제보자 B씨는 최근 SKT로부터 전화를 받고 기기 변경을 했다. 갤럭시 S25 256GB를 현금 8만 원에 구매했다. 나머지 금액은 2년 약정으로 지원금을 받아 처리했다. B씨 역시 유심교체를 받지 못한 상황이었다. 그런데 기기변경은 e심으로 했다.
B씨는 “처음에는 SKT라고 했다. 갤럭시 S25 256GB를 현금 8만 원에 기기 변경할 수 있다고 권해 기기 변경을 하기로 했고, 매장에 갔더니 판매점이었다”면서 “e심으로 교체했다. 대리점 직원이 e심으로 교체하면 추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그렇게 해서 받은 지원금이 100만 원 정도다”라고 말했다.
최근 KT 등이 SKT를 겨냥해 번호이동 등에 대한 지원금을 높이자 SKT도 이에 상응하는 지원금을 상향 조정했다. 앞서 지난달 27일 SKT데일리 브리핑에서 임봉호 MNO사업부장은 “지난 주말에 경쟁사들이 공시지원금을 상향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지원금을 경쟁사와 비슷한 수준으로 올렸다”면서 “판매점에 대한 판매장려금도 고객 이탈에 대한 최소한의 대응 차원에서 인상했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SKT 공식 대리점은 신규 가입자 모집을 하지 못한다. 기기 변경은 가능하다. 판매점은 신규 가입자 모집이 가능하지만 유심이 없다. 이에 SKT는 기기 변경 때 e심 선택 시 추가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기존 고객이 유심 대신 e심을 선택할 경우 유심 교체 수가 올라간다. 유심 교체에 따른 유심비도 절약할 수 있다. e심 교체자에게 1회에 한해 유심을 교체해 주겠다고는 하지만 그건 나중 이야기다.
이처럼 대리점이든 판매점이든 SKT가 공격적으로 기기 변경 권유에 나서는 이유는 최근 SKT에서 타사로의 이탈 때문이다. 5월 한 달간 SKT에서 KT로 번호 이동한 가입자는 19만 6천685명으로 전월 대비 10만 732명이나 급증했다. 또한 SKT에서 LG유플러스로 번호 이동한 가입자는 15만 8천625명으로 전월 대비 7만 2천620명이 증가했다. SKT에서 알뜰폰으로 번호이동한 건수도 전월 보다 54.8% 늘어난 8만 5천180명이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SKT가 어떻게든 번호이동을 막으려고 공격적 대응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가입자를 빼앗기고 싶지 않다면 제보자 A씨의 말처럼 기기변경 보다 유심 교체가 우선돼야 한다. 또한 기기 변경보다 이번 유심 정보 유출에 대한 피해 보상이 선행되야 한다. 소비자는 어떤 것이 합리적 통신 가치소비인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