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와이드-전휴성 기자] 발란 최형록 대표가 말한 해결 방안은 결국 기업회생이었다. 31일 법원에 기업 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이와 함께 최 대표는 매각도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 현재 발란에서 명품을 구매하고 싶어도 결제되지 않는다. 카드사와 PG사가 철수해 결제서비스가 중단됐다. 입점 업체들도 하나둘씩 등을 돌리고 있다. 이러다 결국 회생은 고사하고 침몰할 수 있는 상황이다.
31일 최형록 대표는 입장 자료를 통해 발란의 기업 회생 절차 신청 및 향후 운영 계획을 알렸다. 입장을 정리하면 기업회생 신청과 함께 매각 추진이다. 모 아니면 도다. 발란은 법원이 기업회생을 승인하기 전에 매각을 매듭지겠다는 전략이지만 쉽지 않다. 법원이 기업회생을 거절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도 처리된다. 현재 정산금을 받지 못한 입점 업체들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최형록 대표는 “최근 정산 지연 문제로 인해 파트너 여러분께 불편과 걱정을 끼쳐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라면서 “발란은 올 1분기 내 계획했던 투자 유치를 일부 진행했으나, 당초 예상과 달리 추가 자금 확보가 지연되어 단기적인 유동성 경색에 빠지게 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파트너 여러분의 상거래 채권을 안정적으로 변제하고 발란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3월 31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최 대표는 발란의 회생절차가 타 사례와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소비자의 금전적 피해가 없고, 현재 미지급된 상거래 취권 규모도 발란의 월 거래액보다 적다는 것이다.
최 대표는 “파트너 여러분께 이번 회생절차 소식을 전하게 되어 진심으로 송구한 마음이지만, 발란은 이전에 회생절차에 들어갔던 다른 플랫폼 기업들과는 분명한 구조적 차이가 있다”라면서 “발란은 일반 소비자에게 금전적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현재 미지급된 상거래 채권 규모도 발란의 월 거래액보다 적은 수준이다. 이미 지난 3월부터는 쿠폰 및 각종 비용을 구조적으로 절감해 흑자 기반을 확보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발란은 온라인 명품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서 파트너와 고객의 높은 신뢰와 의존도를 갖추고 있어, 이번 회생절차를 통해 단기적인 자금 유동성 문제만 해소된다면 빠르게 정상화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라면서 “앞으로 진행할 회생절차는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건강한 재무구조로 재정비해 파트너 여러분의 권익을 신속히 회복하고 지속 가능한 사업 기반을 마련하는 회복의 과정임을 다시 한번 강조 드린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기업 회생 신청과 함께 매각도 추진한다. 회생 인가 전 매각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최 대표는 “발란은 회생절차와 함께 M&A를 병행하기 위해, 금주 중 매각 주관사를 지정해 본격적으로 실행에 나설 예정”이라면서 “이는 회생계획안 인가 전에 외부 인수자를 유치하여 향후 현금흐름을 대폭 개선함으로써 사업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빠르게 높이기 위한 결정이다. 조기에 인수자를 유치하여 자금 유입을 앞당김으로써 파트너 여러분들의 상거래 채권도 신속하게 변제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둘 다 쉽지 않아 보인다. 우선 기업 회생은 신청하면 법원이 다 승인해 주는 것은 아니다. 회생 가능성이 낮거나, 회생 계획의 실현 가능성이 부족하거나, 회생절차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채권자·이해관계자의 반대가 있거나, 기업의 도덕적 해이가 있는 경우 등 이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법원이 기업회생을 거절할 수 있다.

현재 발란 앱에서 명품 제품이 구매되지 않는다. 카드·PG사가 철수해 결제서비스가 중단됐다. 입점업체들의 손절도 빠르게 진행 중이다. 이러다 기업 회생 개시, 매각도 하기 전에 발란이 사라질 판이다.
31일 발란 관계자는 컨슈머와이드의 취재에서 “지난 28일 카드·PG사가 철수해 결제서비스가 중단됐다”라면서 “입점 업체들도 빠르게 철수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매각도 쉽지 않아 보인다. 명품은 신뢰가 생명이다. 그런데 이미 소비자와 입점업체에게 신뢰를 잃었다. 현재 입점업체들의 손절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회생 이후 이들이 다시 발란과 손잡을지도 미지수다. 또한 매각의 경우 입점 업체들이 중요한데 현재 상황에서 얼마나 남을지도 관건이다. 기업회생이나 매각이 차질을 보일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입점 업체에게 전달된다. 향후 발란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되는 이유다.
- [가치소비-취재] 발란 등 명품 플랫폼 위기..머스트잇, 결산 재무제표 공개로 재무 건전성 증명
- [가치소비-취재] 발란, 최근 150억 투자유치했다더니, 정산금 지연 논란..최형록 대표 “해결하겠다”
- 발란, 150억 원 총알 장전..투자금 어디에 쓸까
- [가치소비-취재] 발란, 사업 다각화..하이앤드 가구·리빙 가치소비자 유입 성공할까
- [가치소비-취재] 불법 크롤링 피소 발란 “법적 문제 없다···소장 오면 법적 조치”
- [가치소비-취재] 머스트잇 “발란과 달라요” 정산 주기 2일 단축..명품 커머스 1위 건재 과시
- [취재] 머스트잇 “매각 아니다“...매각설 전면 부인
- [가치소비-취재] 발란, 환불 지연 “PG사가 환불 안해 줘”..내달 9일까지 채권신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