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 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공공 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 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컨슈머와이드-강진일 기자] “우리나라는 문화적인 콘텐츠의 'K-컬처'라는 정말 대단한 것을 이루었어요. 그런데 저는 (우리나라가) 'K-아트'로 또 다른 대단한 세계적인 곳으로 나아갈 수 있게끔 기획하고 싶어요.” 이는 공공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 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의 원대한 꿈이다. 오재란 대표는 갤러리 오도 운영하면서 작가의 전시 기획도 주로 담당하고 있다.

공공 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 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공공 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 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본지는 창간 10주년으로 공공미술 분야 '미다스의 손'으로 불리는 오 대표를 만나 그녀가 추구하는 가치와 이에 따른 소비 즉 가치소비 이야기를 들었다. 그가 선택한 장소는 강남 갤러리아 백화점 옆 압구정 기아 365. 오 대표는 갤러리 명품관 앞 공공 미술을 직접 보여주고 있어서 이곳으로 정했어요라고 그 이유를 말했다. 이곳에는 오 대표가 참여한 공공 미술 작품이 전시돼 있다.

오 대표는 도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고 말한다. 일본 나오시마가 그에게 큰 영감을 줬다. 오래된 도시에 예술의 가치를 부여해 환경적인 부분에서도 하나의 손실도 없이 관광 도시로 재탄생하는 것을 보면서 저렇게 공공미술 프로젝트와 도시 환경을 아름답게 연출하는 회사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해 제이 포 더 디자인을 설립하게 됐다. 오 대표가 제이 포 더 디자인을 설립한 지는 20년 정도 됐다. 갤러리 오를 개관한 지는 10년이 흘렀다.

오 대표는 “저는 작가의 작품을 거리에 설치함으로써 예술의 일상화를 구현한다고 생각해요. 그냥 작가의 작품만을 갖다 놓는 것은 중요하지 않고 '적재적소'에 작가의 작품을 구현함으로써 시민들에게 행복을 주는 가치 추구가 가능하지요라고 말했다.

공공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공공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공공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공공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공공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공공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오 대표가 인터뷰 장소로 선택한 이곳은 오 대표에게 가장 인상 깊은 작품이 전시돼 있기 때문이다.

오 대표는 압구정동에 있는 미디어 스트리트가 저에게는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사실 회화적인 평면을 미디어 영상으로, 동적인 것으로 만든다는 게 저희 갤러리에 의뢰가 왔을 때 쉽지는 않았어요. 그런데 저희가 평면적인 회화를 재해석해서 동적인 영상으로 만들어서 2년 동안 송출하고 있었을 때 였는데요, 그 거리를 지나가던 외국 관광객들이 마침 화보 촬영하고 있었던 제게 사진을 찍어 달라고 하는 겁니다. 그때 좀 뿌듯함을 느꼈어요라면서 “또 제가 가장 행복했던 건 우리 시민들이 거리를 지나가면서 문화를 즐기는 모습을 봤을 때였어요. 저에게는 무척 뿌듯한 경험이었어요라고 말했다.

공공 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공공 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오 대표는 공공미술 미다스의 손으로 불린다. 오 대표는 도시라는 공간에 대한 가치를 연출하는 것이 공공미술이라고 정의한다. “공공미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작가들의 작품을 장소에 맞게 기획하고 설치하여 유의미한 미적 공간으로 만들어 내는 것이 제 역할”이라고 말하는 오 대표는 어떻게 공공미술 분야로 지경을 넓히게 됐을까.

홍익대 대학원에서 공간디자인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은 오 대표의 시작은 백화점 쇼윈도 연출이었다. 조형적인 언어와 트렌드 등 모든 걸 이해해야만 할 수 있는 일이었다. 이를 통해 오대표는 공공미술의 초석을 다지게 된다. 그러다가 석사 과정 중 조경을 하는 친구의 권유로 공공미술 조형물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후 디자인과 예술의 경계선을 인지하게 된 오 대표가 많은 갤러리를 통해 추천받게 되고 민들레 작가의 추천을 받은 것이 노동식 작가의 작품이다. 이 작품이 세종시에 LH 9사의 3-2공구 수변 공원에 설치되는 과정을 본 뒤 본격적으로 공공미술 갤러리를 시작하게 된다.

청주 비엔날레- 정북동 토성내 작품 '우주의 시'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청주 비엔날레- 정북동 토성내 작품 '우주의 시'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청주 비엔날레- 정북동 토성내 작품 '우주의 시'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청주 비엔날레- 정북동 토성내 작품 '우주의 시'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오 대표가 공공미술계에 이름을 알리게 된 계기는 작가들의 추천을 받아 참여하게 된 2019년 청주 공예 비엔날레에서 유적지인 정북동 토성 안에 작가의 조성물을 설치하는 일을 해내면서다. 유적지였기 때문에 조형물을 설치하기 위해 매립(작품을 고정하기 위해 땅을 판 뒤 시멘트로 고정하는 것)을 할 수 없었다. 심지어 이곳은 바늘 하나도 허락되지 않을 정도다. 이러한 공간적 난관을 극복하고 조형물 작품을 설치해 주목받게 된다.

오 대표는 “저는 작가성이 있어서가 아니라 작가들이 풀지 못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요라고 웃으며 말했다.

제주 라프- 세계적인 일러스트 작가 장피구치와 협업(외계의 생명체가 제주도에 불시착하여 지구생활에 적응하면서 동화되어지는 스토리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제주 라프- 세계적인 일러스트 작가 장피구치와 협업(외계의 생명체가 제주도에 불시착하여 지구생활에 적응하면서 동화되어지는 스토리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시화 휴게소: 시회지구는 낙조가 유명한 곳으로 달에게 소원을 비는 토끼를 형상화 해서 시민들에게 행운을 주는 장소적의미의 공간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시화 휴게소: 시회지구는 낙조가 유명한 곳으로 달에게 소원을 비는 토끼를 형상화 해서 시민들에게 행운을 주는 장소적의미의 공간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세상의 모든 벤치- 삼성동에 위치한 테헤란로는 거대한 도시공간으로 시민들이 쉼을 가질 수 있는 작가들의 벤치를 설치하는 프로젝트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세상의 모든 벤치- 삼성동에 위치한 테헤란로는 거대한 도시공간으로 시민들이 쉼을 가질 수 있는 작가들의 벤치를 설치하는 프로젝트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미디어아트 작가 전시기획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미디어아트 작가 전시기획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공공미술- 아트컨설팅 (아파트내 공공조형물)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공공미술- 아트컨설팅 (아파트내 공공조형물) ⓒ  ‘제이포 더 디자인’ 제공

오 대표는 제주 라프- 세계적인 일러스트 작가 장피구치와 협업(외계의 생명체가 제주도에 불시착하여 지구 생활에 적응하면서 동화되어지는 스토리) 세상의 모든 벤치- 삼성동에 위치한 테헤란로는 거대한 도시공간으로 시민들이 쉼을 가질 수 있는 작가들의 벤치를 설치하는 프로젝트(작가 참여) 시화 휴게소-시회 지구는 낙조가 유명한 곳으로 달에게 소원을 비는 토끼를 형상화해서 시민들에게 행운을 주는 장소적 의미의 공간 공공미술- 아트 컨설팅 (아파트내 공공조형물) 미디어아트 작가 전시 기획 등 다양한 공공미술에 작가 또는 프로젝트 기획자 등으로 참여해 도시 환경을 좀 더 아름답게 연출하는데 예술혼을 불사르고 있다.

공공 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공공 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오 대표는 제이포 더 디자인과 갤러리 오를 통한 예술 가치소비 리딩에도 앞장서고 있다. 그는 사람도 자기 색깔이 있잖아요. 이렇듯 공간도 그 공간을 좀 더 돋보일 수 있는 연출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해요. 연출은 재생산하고 환경오염적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가지고 새롭게 물질을 변화함으로써 좀 더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저희 회사는 이 능력을 가지고 있어요라면서 대치동에는 스트레스존이라는 집 모양의 프리존 5개가 설치돼 있어요. 아이들이 학원 수업에 가는 중간에 카페에 갈 수도 없고, 5분이나 10분 정도 어디 앉아 있을 데도 없어서 강남구청과 저희가 올해부터 그 존을 작가들의 문화 전시 공간으로 탈바꿈하는 ESG활동을 하게 되었어요. 이런 활동을 통해 작가의 작품이나 작가의 의도나 이런 부분이 사람들의 삶 속에 어떻게 녹여 들어가야 되는지에 대해서 저희는 설명하고 있다고 생각해요라고 말했다.

공공 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 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공공 미술 전시 기획자인 ‘제이 포 더 디자인’ 오재란 대표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오 대표는 인터뷰를 마무리하며 포부도 밝혔다. 그는 도시가 문화 거리가 됐으면 좋겠어요. 스페인의 빌바오라는 도시가 있어요. 빌바오에는 구겐하임이라는 대표적인 건축물이 있고 그 주변으로 제프 쿤스와 루이스 브루주아의 작품이 있어요. 이 작품으로 그 도시(빌바오)는 세계적으로 문화를 알리게 되는 요소 곧 장소성을 가지게 되었어요라면서 우리나라는 문화적인 콘텐츠의 'K-컬처'라는 정말 대단한 것을 이루었어요. 그런데 저는 (우리나라가) 'K-아트'로 또 다른 대단한 세계적인 곳으로 나아갈 수 있게끔 기획하고 싶어요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가치소비뉴스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