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일회용 패키지가 얼마나 된다고? ...美 캘리포니아州 ,강력 환경규제 추진 이유
[카드뉴스] 일회용 패키지가 얼마나 된다고? ...美 캘리포니아州 ,강력 환경규제 추진 이유
  • 복요한 기자
  • 승인 2022.10.25 20: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와이드-복요한 기자] 공산품과 배달 및 조리 식품이 생활화된 현대 사회에서 패키징은 필수적인 산업인데요, 하지만 환경 문제가 이슈화되며 패키징 산업에 대한 다양한 정책과 대안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기사에서는 올해 중순 (6월 말) 美 캘리포니아 주에서 통과된 패키징 관련법을 들여다보며 함께 생각해보려 해요.

플라스틱 오염 방지 및 패키징 생산자 책임법(SB 54)은 빠르면 2024년부터 발효되며, 해당 법에 따라서 앞으로 재활용을 위해 소요되는 모든 비용(인프라, 처리공장, 수집 및 분류시설) 은 패키징 생산업계가 부담하게 됩니다. (기존: 납세자 및 재활용업계) 아울러 일회용 패키징 및 식기류 (비닐, 플라스틱, 코팅종이류, 뚜껑, 빨대, 세면용품 병)는 재활용 가능하거나 퇴비화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법개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업체는 패키징 생산자 및 관련 유통, 수입, 판매자로 주 내 상주 기업이 아니더라도 해당될 수 있습니다. (예: 제품 브랜드·상표권 소유자, 라이센스 보유자) 해당 기업은 2024년 1월1일까지 캘리포니아 자원 재활용 및 복구국에 승인을 받고 규제준수(모니터링 및 처리, 기록)를 위한 별도 조직을 (생산자 책임 조직 PRO) 구성해야 합니다. 불복시 캘리포니아주 내 일체 판매, 수입, 유통에 제재를 받게 됩니다. 각 조직은 주 정부에 기금 및 재활용 관리 수수료(순환경제관리) 납부 의무를 지니게 됩니다.

그 외 명확한 플라스틱 감축 과제를 수행해야 합니다. (위반시 민사 벌금 5만달러) 해당 과제는 지역의 필요에 따라 인상될 수 있습니다. 과제를 살펴보면; 2032년까지 패키징 무게 25% 감축, 2028년까지 30% 이상 재활용, 2030년까지 40% 이상 재활용, 2032년까지 65% 재활용이 가능해야 합니다. (캘리포니아 주 내 판매/유통/수입 제품의 플라스틱 패키징) 재활용업계는 수송 물질 (종류, 분량)과 목적지에 대해 보고해야 하고 폐기 시설은 폐기 물질에 대해 보고하게 됩니다.

그럼 캘리포니아 주는 왜 이런 법을 통과시킨 걸까요? 캘리포니아주는 미국 내 인구와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지역이지만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美 NGO OCEANA) 2018년 기준 캘리포니아주내 매립 플라스틱 폐기량은 450만 톤, 해안가 및 수중에 폐기되는 쓰레기 또한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어요. (4억 달러 주정부 세금) 특단의 조치로 2018년 12월 최초 발의되었던 플라스틱 오렴 방지 및 패키징 생산자 책임법은 큰 지지를 얻게 되었습니다. 가장 큰 타격을 입은 플라스틱 업계 측은 인정하지만 완전히 지지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표명한 바 있습니다. (지역매체)

코로나 기간동안 허용되었던 1회용 패키징이라는 편리한 습관이 자연스럽게 사라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데요, 너무 늦기전에 우리 땅에서 소비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에 대한 부담과 책임에 대해서도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551-17 (한화비즈메트로1차) 814호
  • 대표전화 : 02.6672.4000
  • 팩스 : 02.6672.4006
  • 고문변호사 : 윤경호 (법률사무소 국민생각 대표변호사)
  • 명칭 : ㈜컨슈머와이드
  • 제호 : 컨슈머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 03166
  • 등록일 : 2014-05-22
  • 발행일 : 2014-05-22
  • 발행인 : 전휴성
  • 편집인 : 강진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우영철
  • 컨슈머와이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3 컨슈머와이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sumerwide@gmail.com
인터넷신문위원회_211104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