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와이드-우영철 기자] 로보락 등 중국산 무선 청소기가 흡입력을 과장해서 판매해 온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중국산 무선 청소기는 흡입력 표시 단위를 흡입력과 직접적 관계가 없는 파스칼(Pa)를 사용해 소비자가 성능이 더 좋은 것으로 오인시키고 있는 것으로 한국소비자원 무선 청소기 시험·평가에서 낱낱이 드러났다. 이러니 중국산에 대한 불신이 생길 수밖에 없다. 무선 청소기를 구매할 때 어떤 것이 합리적 가치소비인지 중요해지는 대목이다.
18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국내 시중에서 판매 중인 무선 청소기의 흡입력 단위는 국제 표준 단위인 와트(W), 믹룩재료시험협회 표준에서 통용되는 단위인 에어와트(AW), 진공도 단위인 파스칼(Pa) 등 3가지다. 그런데 와트와 에이와트는 십의 자리 또는 백의 자리값인 반면, 진공도 단위인 파스칼은 만의 자리값을 가진다. 파스칼로 표시·광고하면 소비자가 제품 흡입력이 더 좋은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진공도는 흡입력을 이루는 1개 요소로 공기유량은 없고, 제품 내부 압력 상태만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므로 흡입력 단위로 사용하는 것이 부적절하다. 그럼에도 중국산 제품들이 이점을 노렸다. 로보락, 아이룸, 사오미, 디베아, 틴도우, 아이닉 제품들은 파스칼을 표시·광고했다. 이들 제품은 18,000~48,000Pa 범위의 진공도 값을 흡입력인 것처럼 표시·광고했다. 그런데 이들 6개 제품의 실제 최대 흡입력은 58~160W 범위였다. 이는 단위를 제외하고 단순 수치만 비교할 경우 표시·광고 대비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반면 와트(W) 단위로 흡입력을 표시한 삼성전자·LG전자, 에어와트(AW) 단위로 흡입력을 표시한 다이슨 등 3개 제품의 실제 최대흡입력은 280W 이상으로 표시된 수치(280)를 충족했으나, 중국산 제품인 드리미 제품은 표시된 흡입력 수치(150) 대비 80%(121) 수준이었다. pa, AW로 표시하던 중국산 제품은 표시·광고한 것에 비해 흡입력이 떨어졌다. 한국산 무선 청소기의 흡입력은 중국산 일부 제품 대비 4.8배 높았다.
한국소비자원은 수입 업체 8개 에게 흡리력 수치·단위 표시의 선제적인 개선을 권고했다.
이제는 중국산 무선 청소기의 뻥튀기 흡입력에 속지 말고 합리적 가치소비를 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