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와이드 DB
ⓒ 컨슈머와이드 DB

[컨슈머와이드-강진일 기자] KT 소액결제 피해가 늘어났다. 피해 고객 수는 당초 278명이 피해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추가 피해 고객이 늘어나 362명으로 증가했다. 누적 피해 금액도 24천만 원으로 집계됐다. KT6월부터 ARS 인증을 거친 소액결제 건을 전수 조사하는 과정에서 확인됐다. 이에 따라 KT 고객들의 불안감이 더 커지고 있다. 합리적 통신 가치소비가 중요해지는 대목이다.

18일 오후 3시 서울 KT 광화문 West 사옥 B1 온마당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KT는 추가로 침해 정황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추가된 소액결제 피해는 기존 상품권 소액결제 피해 외에도 교통카드 등 다른 유형의 소액결제에서 발생했다. 피해 고객 수는 당초 278명에서 362명으로, 누적 피해 금액은 24천만 원으로 집계됐다.

추가 소액 결제 피해는 KTVOC(고객 문의) 기반의 조사 결과에 신뢰도를 더하기 위해 6월부터 ARS 인증을 거친 소액결제 건을 전수 조사하고, 결제 패턴과 통화 패턴을 결합해 면밀히 분석하는 과정에서 확인됐다.

KT불완전 로그가 발생한 사례를 선별한 뒤, 해당 고객이 접속했던 초소형 기지국 정보를 종합해 의심 대상을 추려냈다. 특정 시간대 비정상적으로 많은 접속이 발생하거나 소액결제가 짧은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몰리는 경우 등 비정상 유형을 기준으로 데이터 분석을 거쳐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를 검출해냈다면서 이 과정에서 KT는 기존 상품권 소액결제 피해 외에도 교통카드 등 다른 유형의 소액결제 피해 사례를 추가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KT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 2개 외 2개의 ID를 더 확인했고, 2만 명이 4개의 불법 초소형 기지국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파악했다. 해당 기지국 ID를 통해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와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휴대폰 번호가 유출된 정황도 확인했다.

KT지난 5일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한 이후 새로운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추가로 확인한 피해 역시 모두 그 이전에 발생했다면서 소액결제 과정에서 필요한 고객 성명과 생년월일이 KT를 통해 유출된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다. 유심정보 중 인증키는 유출되지 않은 만큼 복제폰 생성을 통한 피해 발생 가능성도 없다고 부연했다.

KT는 이번에 추가로 확인한 피해 정황에 대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이날 보완 신고를 마쳤다. 해당 고객을 대상으로 신고 사실과 피해 사실 여부 조회 기능, USIM 교체 신청 및 보호서비스 가입 링크 등에 대해 KT닷컴과 마이케이티 앱, 문자 메시지(SMS)를 통해 개별 안내 중이다.

KT는 피해 정황이 추가로 확인된 고객에게도 소액결제 청구를 면제하고 무료 유심(USIM) 교체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전국 2천여 개 매장을 안전안심 전문매장으로 전환해 고객이 안심하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로 했다. 피해 고객을 대상으로 향후 휴대폰 통신기기 사용과 연계하여 발생하는 금융 사기 피해를 보상하는 ‘KT 안전안심보험(가칭)’3년간 무료로 제공한다.

KT고객들에게 큰 불편과 우려를 끼친 점에 대해 거듭 사과하며, 피해 고객에 대한 보호와 지원을 최우선으로 삼고 있다면서 고객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재발 방지 대책과 제도 개선을 철저히 추진하며 고객 보호에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가치소비뉴스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