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0개 대학과 손잡고 ‘구독대학’ 시범 운영…7월부터 시민 수강생 모집
인문‧예술‧AI 등 시민이 직접 고르는 15개 강좌…실제 캠퍼스서 교수진 직접 강의
직업교육 중심의 기존 모델과 차별화…시민과 대학이 함께 만드는 참여형 ‘학습 플랫폼’
모든 강좌 전액 무료…평생학습포털서 서울시민‧생활권자 누구나 신청 가능

[컨슈머와이드-우영철 기자] 서울시내 다수의 대학들이 나의 학교가 된다. 내가 듣고 싶은 강의를 선택하면 대학에 가서 무료로 들을 수 있는 것. 대학 강의를 ‘구독’하는 시대가 열렸다.
1일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은 시민이 듣고 싶은 강의를 원하는 대학에서 자유롭게 선택해 수강할 수 있는 시민 맞춤형 평생교육 프로그램 ‘구독대학’의 수강생을 7월부터 모집하고 시범운영 한다고 밝혔다.
구독대학은 직업훈련 중심의 기존 대학 연계 프로그램과는 다르다. 인문교양과 문화예술, AI·디지털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됐으며, 자신이 원하는 수업을 선택해 듣는 구독형 학습 모델로 기획됐다.
서울시 내 10개 주요 대학(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성서대, 홍익대)이 참여해 총 15개 강좌를 7월 중순부터 순차적으로 개설한다. 각 강좌는 20~50명 규모로 각 대학의 강의실에서 교수진이 직접 강의한다. 일부 강의는 이론 수업에 실습이 포함되어 있어, 직접 체험을 통해 내용을 더욱 생생하게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됐다.
특히 시민들은 평소 관심 있던 강의를 가보고 싶던 캠퍼스에서 수강함으로써, 강좌 수강과 더불어 각 대학의 고유한 분위기와 공간 자원도 함께 체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세대학교는 시스템 반도체 분야 교수와 함께 일상 속 디지털 기술을 ‘반도체 뉴스’라는 흥미로운 키워드로 풀어낸다. 홍익대학교는 미술·디자인 전공 교수와 함께 다빈치·고흐·피카소 등 대표 작가의 시선을 따라가며 실습도 병행하는 체험형 수업을 한다. 경희대는 한방 건강관리를 주제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수업을 제공한다.
이번 구독대학에는 서울시의 중장년 직업역량 강화 프로그램인 ‘서울마이칼리지’ 사업에 참여해 온 기존의 17개 대학 외에도 10개 대학이 새롭게 참여하면서, 서울시와 대학 간의 평생교육 협력 범위가 한층 확대됐다. 다양한 대학의 교육 자원을 시민과 공유함으로써 학습 선택권을 넓히고, 시민-대학 연계 평생학습 생태계 구축에 더욱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강 신청은 금일(1일)부터 온라인 서울시평생학습포털 내 ‘서울시민대학→서울마이칼리지’ 메뉴에서 가능하다. 강의별 일정은 대학별로 상이하나 대부분 7~11월 사이에 운영된다. 모든 강좌는 서울 시민(생활권자 포함)을 대상으로 전액 무료다.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시민과 대학이 함께 만드는 평생학습 생태계를 조성하고, 향후 시민 제안형 강좌나 캠퍼스 체험 연계 프로그램 등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용진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장은 “구독대학은 시민이 배우고 싶은 주제를 스스로 선택하고, 대학은 그 배움의 길을 함께 열어주는 새로운 시도”라며, “일방적인 지식 전달을 넘어 대학과 시민이 함께 호흡하며, 서울이라는 도시 전체가 캠퍼스가 되는 시대를 함께 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