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와이드-강진일 기자] 지난해 티메프(티몬, 위메프) 사태에 이어 올헤 홈플러스·발란 사태로 먹구름이 잔뜩 킨 유통가 하늘에 한 줄기 빛 같은 소식이 전해졌다. 오늘의 집이 창사 10년 만에 첫 연간흑자를 달성했다. 홈퍼니싱을 넘어 이커머스 시장에서 옥석이 등장한 것이다. 특히 지난해 장기적인 불황과 소비 심리 위축 속에서도 성장을 이어갔다는 것이 괄목할 만한 성과로 평가 받는다. 올해도 이같은 성장세를 이어갈 계획이다. 안전하고 합리적인 거래를 입점업체들과 소비자들에게 오늘의집이 새로운 가치소비 선택지로 급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31일 오늘의집이 공개한 2024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오늘의집은 지난해 매출 2천879억 원, 영업이익 5억 7천만 원, 당기순이익 52억 6천만 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22.5% 증가했다. 전년 -19억 9천만 원이던 영업이익(적자)은 지난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당기순이익은 127.4% 성장했다.
이같은 성장 배경에 대해 오늘의집은 .커머스 전반으로 매출 증가, 광고 매출이 상승, 인테리어 시공에 따른 부수적인 광고라든지 기타 수익 증가 등을 꼽았다.
이날 오늘의집 관계자는 컨슈머와이드의 취재에서 “성장 배경을 꼽자 크게 세 가지다. 커머스 전반으로 매출이 늘어났다. 광고 매출이 상승했고, 인테리어 시공에 따른 부수적인 그런 광고라든지 기타 수익들이 발생했다”라면서 “꾸준하게 우상향을 해서 전년도보다 그 전년보다 그 전년보다 매년 조금씩 조금씩 조금씩 성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우선 커머스의 거래액이 상승했다. 직접판매상품과 중개판매상품 모두 전년 대비 거래액이 늘었다. 그만큼 소비자들이 오늘의집에서 홈인테리어 제품을 많이 구매하고, 선호하고 있다는 소리다. 여기에 지난 2023년 서비스를 시작한 입점업체들을 대상으로 판매하는 광고 수익도 흑자 전환에 한몫했다. 오늘의집의 인테리어 시공 사업 수익도 성장에 발판이 됐다. 지난 2023년 온라인 시공 중개 보상(시공 책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거래액은 지난해 기준 두 배 가까이 늘었다. 누적 거래액 역시 1조원을 돌파했다.
올해 목표에 대해 그는 “올해도 일단은 계속 그 부분 저희가 잘하는 부분들을 계속 키워나가고 또 글로벌 쪽에 투자도 계속할 계획”이라면서 “조금 미진했던 부분들에서 조금 잘 할 수 있도록 제 투자들이 좀 이어질 것 같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