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와이드-강진일 기자] “오는 2030년까지 3천억 원 매출을 달성해 글로벌 PR 업계 20위권에 진입하겠다” 이는 18일 오전 11시 여의도 페어몬트 앰버서더 서울 호텔 그랜드 볼륨에서 진행한 함파트너스 그룹 출범 행사에서 함시원 대표가 밝힌 포부다.
이날 함시원 대표는 AI 기반 PR과 팬덤 커머스를 융합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그룹으로 공식 출범을 선언하고 AI 기반 PR 기술 고도화, 팬덤 경제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K-CONNECT 옴니채널 전략을 중심으로 한 3대 비즈니스 전략을 발표했다.
함시원 대표는 “글로벌 PR과 광고의 가장 중요한 트렌드는 데이터 기반의 AI 마케팅, 팬덤 커머스 그리고 인터넷 기반 커뮤니케이션이다. 앞으로 미래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은 디지털 AI, 데이터 중심 팬덤 전략 이 네 개의 키워드가 핵심 키워드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한 파트너스가 바라보는 미래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데이터를 통해 고객을 이해하고 팬덤으로 브랜드의 지속 가능성을 계속 창출해 내는 것”이라면서 “스카이벤처스와 케이팝머치 합류를 통해 함파트너스는 글로벌 도약 기업으로 도약을 하게 된다. 오늘 함파트너스 그룹으로 새롭게 출범한다. 두 회사의 인수는 단순한 기업 확장이 아니라 디지털 중심의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을 준비하기 위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인 결정이었다. 이를 토대로 K팝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극대화하고 PR과 디지털 커머스를 결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함파트너스가 인수한 스카이벤처스는 유튜브 기반 IP 콘텐츠 기획·제작과 팬덤 구축에 특화된 기업이다. 콘텐츠-팬덤-커머스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단순 콘텐츠 제작을 넘어 팬덤 중심의 커머스를 통해 실제 매출로 이어지는 독보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할인전', '구독왕', '조짜르트' 등과 같이 팬덤이 직접 상품을 소비하는 팬덤커머스 성공 신화를 쓰고 있다. 여기에 테크 기반 커머스 인텔리전스 솔루션을 통해 실시간 고객 데이터와 소비 행동을 분석, 맞춤형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케이팝머치는 글로벌 K팝 팬덤을 연결하는 공식 커머스 플랫폼이다. 설립 4년만에 약 20배 성장하며 글로벌 K팝 시장을 선도하는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케이팝머치의 핵심 경쟁력은 K팝 아티스트 및 글로벌 IP 기반 굿즈를 기획·개발하여 팬들에게 맞춤형 상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외 주요 도시 중심 오프라인 매장 운영 및 약 20여 건 이상의 글로벌 팝업스토어를 기획·운영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 3개 회사가 하나로 뭉쳐 도대체 어떤 시너지를 낼 수 있을까. 함 대표는 “홍보 마케팅을 잘하는 함파트너스, 테크 기반의 디지털 마케팅을 하는 스카이 벤처스 그리고 팬덤 기반의 커머스를 잘하는 케이팝 머치 이 세 회사가 함께 브랜딩 디지털 콘텐츠 IP 그리고 팬텀 커머스까지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함대표는 이를 위한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 3가지도 함께 공개했다.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은 AI 기반 PR 기술 고도화, 팬덤 경제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K-CONNECT 옴니채널 전략이다.
함파트너스는 스카이 벤처스와 AI 기반 PR 분석 솔루션을 도입한다. AI 자동화 보도 자료 생성, 블로그나 소셜 콘텐츠 생성, 각각 개인의 성향에 맞는 맞춤형 피칭 자료, 인플루언서 미디어 리스트를 자동 생성, AI를 통해서 캠페인 기획 등 생성형 AI로 개발 중에 있다. 이를 통해 트렌드 분석 그리고 위기 감지 그리고 영향력 분석 그리고 ROI까지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서 다양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계획이다.
두번째 전략은 바로 팬덤 경제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이다. 함파트너스는 K팝의 IP와 현지·글로벌 브랜드, 한국의 로컬 브랜드와 비즈니스 협업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더 나아가 K팝에 국한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스포츠 그리고 아티스트 또한 인플루언서나 셀레브리티 그리고 KP IP 등의 마케팅으로도 확대할 예정이다.
세 번째 전략은 옴니 채널이다. 함파트너스가 구축하고 싶은 것은 브랜드와 팬덤이 만나는 모든 접점을 연결하는 통합 플랫폼이다. 현재 3사 통합으로 해외 매장과 유튜브 등 온라인 채널 등 해외 채널을 많이 구축하게 됐다. 또한 함파트너스는 로컬·글로벌 홍보자료 배포 시스템도 구축했다. 이를 통한 함파트너스의 최종 목표는 K커넥트다. 쉽게 설명해 한국 기업이 글로벌에 진출할 경우 해외의 현지 마케팅 등을 제공해 세일즈 성공을 돕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함파트너스는 브랜드의 충성고객을 확대하는 팬덤 경제도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해외 홍보 디지털 회사 추가 인수도 고려 중에 있다.

함시원 대표는 “AI, 팬덤 그리고 커머스를 연결해 세계를 움직이는 커뮤니케이션을 만들어 가고자 한다”라면서 “2030년까지 3천억 매출을 달성할 계획이다. 달성하게 되면 글로벌 순위 20위에 들어간다. 현재 3회사의 매출을 매년 20% 상승시킨다면 가능한 숫자다. PR을 넘어 브랜드와 시장을 연결하는 통합 커뮤니케이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