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들이 먹는 건데, 일부 학교 급식시설 위생 엉망...먹거리 안전 가치소비하려면
[컨슈머와이드-우영철 기자] 학생들의 먹거리가 위협받고 있다. 학교 급식시설은 특히 학생들의 건강을 위해 위생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다. 그런데 일부 급식시설이 소비기한 경과 제품을 보관하는 등 위생이 불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아직도 학교 주변 일부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 업소의 위생이 엉망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경남 사천시 한 김밥집에서 판매하는 김밥에서는 바실루스세레우스 식중독균이 기준초과 검출됐다. 이번에 적발된 곳에서 먹거리를 구매하지 않는 것이 바로 안전한 먹거리 가치소비다.
2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따르면, 지난 8월 22일부터 9월 18일까지 17개 지방자치단체, 시·도 교육청과 함께 을 학기 식중독 예방을 위해 학교·유치원 집단급식소, 식재료 공급업체 및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내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등 3만 8천509곳을 집중 점검한 결과,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15곳이 적발됐다.
적발 내용을 보면 소비기한 경과 제품 보관(9건) ▲원료보관실 청결 미흡 등 위생적 취급기준 위반(3건) ▲보존식 미보관(2건) ▲건강진단 미실시(1건)이다. 특히 이같은 위생 불량 업소가 대부분 서울이 아닌 지방 도시였다. 세종 2곳, 충북 6곳, 전북 2곳, 인천 1곳, 제주 1곳, 대구 1곳 등이다. 이중에는 유치원도 포함돼 있다.
수거 검사에서 충북 청주시 서경중학교에서는 양배추 샐러드에서 대장균이 검출됐고, 전북 완주군 완주로컬푸드과실생산자협동조합의 빙과에서는 세균수가 기준 초과 검출됐다.
이번 점검에서 함께 진행된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 업소의 경우 충국 괴산군 떡끼묵까와 서울 용산구 아이스크림 할인점에서 소비기한 경과 제품을 진열하거나 보관해 적발됐다. 또 경남 사천시 정김밥에서 판매하는 야채김밥에서는 바실루스세레우스 식중독 균이 검출됐다.
식약처는 이번에 적발된 집단급식소 등은 6개월 이내에 다시 점검하고,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는 전담관리원이 상시로 점검하여 개선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또한 관할지방자치단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