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현대차, 2028년 자율주행 완성차 선보인다...안전 이동 가치 실현 코앞
[컨슈머와이드-전휴성 기자] 현대차가 오는 2026년 페이스 메이커 개념 차량을 선보이고, 2027년엔 아트리아 기반의 자율주행이 탑재된 차를, 2028년엔 모든 플레이오스의 컨포넌트들이 총 집약된 완성차를 내놓는다. 따라서 2028년엔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볼법한 자율주행차를 실제로 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율 주행차는 소비자 아닌 국민의 안전 이동권을 보장하는 사회적 가치 기술의 집약체다. 멀지 않아 소비자들은 사회적 가치 소비를 할 수 있을 전망이다.
지난 9일 오후 3시 30분 서울 코엑스 C관에서 진행된 2025 자율주행모빌리티산업전(AME 2025) 자율주행 산업 콘퍼런스에서 현대차 이경민 상무는 “ advancing the future of smart driving”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했다.
이경민 상무는 “스마트폰과 달리 자동차는 자동차에 들어가는 여러가지 기능들로 사용자들이 좋은 경험을 10년 동안 유지할 수 없다”면서 “핸드폰처럼 계속 고도화되고 지능화되면서 사용자들에게 좋은 경험을 주는 그런 자동차를 만들자. 계속 향상할 수 있는 차를 만들자. 이것이 앞으로 우리가 마주하게 될 근 미래 자동차의 모습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자동차의 핵심은 바로 소프트웨어라고 이 상무는 주목했다. 현재 현대차는 플레이오스라는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이 플랫폼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클라우드를 통합하는 모빌리티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지금 현대차가 개발 중인 리포트 시스템인 글레오(Gleo) AI가 탑재된다. 글레오 AI가 접목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지금과 차원이 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공원 가자”라고 말하면, 글레오(AI)가 “여의도 공원, 올림픽 공원이 있어요. 어느 곳으로 안내할까요?”라고 물어보고, 운전자가 “올림픽 공원”이라고 답하면 글레오가 “올림픽 공원을 목적지로 설정 후 경로 안내 시작할께요”라고 말한다. 이후 운전자가 “경부고속도로를 거쳐 가면 얼마나 걸려?”라고 물어보면, 글레오가 “기존 경로보다 14분 오래 걸리지만 경부고속도로를 거쳐가는 경로로 안내할까요?”라고 물어본다. 운전자가 “그래”라고 답하면 글레오가 이를 취합해 운전가가 원하는 대로 경로를 설정한다.
또한 만약 운전자가 운전 중 지인으로부터 “너 어디야? ㅇㅇ 왔는데 피 한잔 하자”라는 문자가 도착하면 글레오가 “방금 확인한 메시지 내용을 참고해서 ㅇㅇ을 목적지로 설정할까요?”라고 물어본다.
글레오는 문자도 보내준다. 운전자가 “나는 아이스아메리카노 주문해줘”라고 지인에게 문자를 보내달라고 하면 글레오가 보내준다.
글레오는 멀티로 반응한다. 한번에 한가지 일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여러가지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창문 닫아주고, 에어컨 켜고, 어플레이즈(음악 앱) 설치해줘”라고 명령하면 글레오가 “모든 창문 닫았고, 에어컨도 켰어요., 그리고 어플레이즈 설치 시작했어요”라고 말하곤 실행한다.
글레오는 길안내도 직관적으로 한다. 3차선으로 주행해야 하는데 운전자가 2차선으로 주행하고 있으면 “오른쪽으로 차선을 변경하세요”라고 말한다. 지도상으로 애매한 곳도 클레오는 정확하게 안내한다.
이 상무는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시스템이 제 내비게이션에 있다면 바로 도입해서 사용하고 싶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들 그다음에 우리가 사용하는 핸드폰의 기능 클라우드와 연결된 기능들 자동차에서 보이스 액티메이션을 통해서 모든 것들이 핸들링이 된다”라면서 “저는 안전뿐만 아니라 자동차에서 정말 사용자들에게 운전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줄 수 있는 요즘 핫한 LLM(Large Language Models)을 자동차에 적용해서 바로 사용자들의 경험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진짜 좋은 기술의 방향이라고 생각하고 현대차는 플레우스 플랫폼의 한 파트로서 글레오 AI를 계속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이 상무는 주제인 자율주행에 대해서도 발표했다. 현대차는 End-to-end AI 방식의 자율주행을 개발하고 있다. 자율주행 방식은 사람이 직접 주행 규칙을 설계하는 Rule-Based 방식과 AI가 주행 데이터를 학습 후 판단하는 End-to-end 방식이 있다. Rule-Based 방식은 특정한 도로 환경에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고 법적 규제 준수 및 안전성 확보가 용이하지만 결정 방식이 사전에 정해진 논리가 적용되고, 환경 변화에 적응이 어렵고, 복잡한 환경에서 안정성이 취약하다는 단점 등이 있어 최근에는 AI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직접 판단하고 환경 변화에도 유연하게 적용하며 복잡한 환경에서 학습을 통해 안정성을 갖는 End-to-end이 급부상 중이다. End-to-end 방식은 카메라와 선서 데이터를 활용해 AI가 적접 판단한다. 또한 운전 테이터를 기반으로 AI가 자체적으로 학습하고 최적화한다. 하지만 End-to-end도 단점은 있다. AI가 왜 특정 결정을 내렸는지 해석하기 어렵고, 예기치 못한 오작동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 현재 현대차는 아트리아 AI라는 자율 주행을 개발하고 있다.
이 상무는 “이제 막바지에 이른 것 같다. 내년 3분기 우리가 개발한 것들을 이끌어줄 수 있는 페이스 메이커 개념의 SDY 페이스카를 출시할 계획이다. 아트리아 AI 기반 자율주행이 탑재되어 있는 차량을 2027년 4분이게 여러분들도 탑승해 볼 수 있을 것”이라면서 “모든 플레이오스의 컨포넌트 들이 총 집약된 완성품은 2028년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자동차 업계에서 여러분들이 마주하게 될 차들은 기본적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와 클라우드 통합 모빌리티 형태의 플랫폼으로서 차량일 것”이라면서 “현대차도 계속 노력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