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소비-취재] 아모레퍼시픽, 업계 최초 2024년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완료.. 친환경 가치 강화
[컨슈머와이드-장하영 기자] 아모레퍼시픽이 화장품 업계 최초로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을 완료했다. 이를 통해 아모레퍼시픽은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저감, 자원 순환 확대 등 기후 위기 대응 및 자원 순환 리더십 확보를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는 기업의 ESG 경영이자 환경 가치소비다.
10일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컨슈머와이드의 취재에서 “지난해 2월부터 아모레 뷰티파크에 한국환경공단 주관 '2024년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사업을 준비했다”면서 “정보통신기술,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저감, 자원 순환, 환경 보건 분야 10개 아이템을 선정해 스마트 생태공장 지원 사업을 추진했고, 지난해 말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아모레 뷰티파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 물류 기을 활용해 전 세계 고객들에게 최상의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아모레퍼시픽이 지난 2012년 준공한 국내 화장품 제조 공장이다. 기후위기 대응 및 자원순환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온 아모레 뷰티파크는 지난 2023년 세계경제포험 등대공장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지난해 2월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저감, 에너지 및 자원 효율 제고를 위해 친환경 공장 전환 및 구축을 지원하는 정부 사업인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에 참여했다.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사업 비용은 한국환경공단과 아모레퍼시픽이 나눠 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모레 뷰티파크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으로 아모레퍼시픽은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저감, 자원 순환 확대 등의 효과를 보게 됐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이번 사업으로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저감, 자원 순환 확대 등을 통해 얼마나 탄소중립 등의 효과가 나타날지는 밝힐 순 없다”면서 “이번 사업으로 인버터 터보 블로어와 태양광 발전시설을 추가 구축해 연간 279tCO2eq 의 온실가스를 저감했다. 또한 악취 방지시설 개선 및 대기 방지시설 및 차세대 폐수 슬러지 탈수기를 도입했다. 용수 재활용 인프라에 투자해 취수량을 감소시킨 한편 용수 재활용 비율도 높였다. 빅데이터 기반의 폐수처리 공정 자동화를 도입함과 동시에 클라우드 기반 폐수 처리 공정 모바일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도 새롭게 적용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모레퍼시픽은 기업 활동으로 인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환경 보전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앞으로도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