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소비-뷰티] K-뷰티, CES 2025서 "차세대 뷰티 테크란 이런 것"
[컨슈머와이드-강진일 기자]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5’가 시작됐다. 현지 시간 기준 7일부터 10일까지 4일간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등에서 열리는 CES는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가 주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IT-가전 전시회로 매해 글로벌 테크 기업들이 대거 참가해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혁신 기술을 선보이는 자리다. 올해 IT 신기술을 접목한 혁신적 K-뷰티 기술력을 자랑하는 장이 되고 있다. 뷰티에 가치를 두고 있는 소비자에게 CES에서 소개된 차세대 K-뷰티 기술들은 새로운 뷰티 가치소비를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K-뷰티 대표 업체인 아모레퍼시픽은 CES 2025에서 직접 개발한 '워너-뷰티 AI(Wanna-Beauty AI)' 기술로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다. 그 기술력과 혁신성을 인정받아 CES 혁신상 수상이라는 영예를 안았다. 워너-뷰티 AI는 이용자에게 이상적인 메이크업을 찾아주고 맞춤형 가상 체험을 제공하는 음성 챗봇(Chat-Bot) 기반 디지털 솔루션으로 사용자의 사진을 통해 피부색과 얼굴 비율 및 형태를 분석하고 학습한 메이크업 전문가의 노하우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장법 추천 및 가상 메이크업 체험을 제공하는 생성형 AI 접목 차세대 혁신 기술이 탑재됐다. 이와 함께 아모레퍼시픽은 카메라 기반의 광학적 피부 진단과 디바이스를 활용한 접촉식 피부 진단 기술을 융합한 AI 피부 분석 및 케어 솔루션을 삼성전자 마이크로 LED 뷰티 미러에 탑재해 선보였다.
CES에 참가한 한국콜마는 AI 기반 피부 케어 설루션 플랫폼 '카이옴'을 선보인다. 이 기술은 피부 표면 샘플 취재, 얼굴 사진 촬영을 통한 광학 진단 등을 AI를 통해 분석한 후 개개인의 피부 상태에 맞춘 관리법을 제시한다.
올해로 두번째 CES에 참가하는 에이피알은 혁신적인 뷰티테크 기술력이 탑재된 2세대 뷰티 디바이스와 더불어 병용 가능한 화장품 라인을 선보인다.
글로벌 화장품 회사인 로레알그룹은 이번 CES에서 K-뷰티 기술력으로 탄생한 피부 나이 계산, 노화 방지를 위한 맞춤형 조언 등을 제공하는 기기 '로레알 셀 바이오 프린트'를 공개한다. 로레알은 국내 스타트업 나노엔텍과 함께 이 기술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단 5분 만에 개인 맞춤형 피부 분석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기기로 단 몇 분 만에 ▲피부의 생물학적 나이를 계산하고 노화를 늦추는 방법에 대한 개인 맞춤형 조언 제공 ▲레티놀과 같은 특정 활성 성분이 내 피부에 효과적인지에 대한 반응성 예측 ▲뷰티 관련 잠재적 고민들을 미리 예측하는 등 다양한 방면으로 개인 맞춤형 피부 분석 진단 및 솔루션을 제공한다.
업계 관계자는 “IT 강국인 한국이 IT와 뷰티 기술을 접목한 K-뷰티 제품들을 선보이며 차세대 뷰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라면서 “앞으로 뷰티테크가 새로운 먹거리로 부상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