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소비-기획] 전기차 캐즘 극복 방안①···한국진 전기차사용자협회 이사“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기업 전략” 필요
[컨슈머와이드-전휴성 기자] 전기차 화재 불안으로 인해 심화되고 있는 전기차 캐즘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전기차 캐즘 극복 여부 및 속도가 자동차산업의 미래차 전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다. 따라서 이에 자동차 전문가들이 지난 25일 고양 킨텍스에서 전기차 화재 예방과 수요 확대 전략 포럼에서 전기차 화재로 인한 국민 불안 해소와 캐즘 극복 전략을 모색하고자 머리를 맞댔다. 그 첫 번째 순서로 한국진 전기차사용자협회 이사가 전기차 화재 이후의 소비자 인식 관련 설문조사 결과 및 시사점을 들어봤다.
한국전기차사용자협회는 매년 전기차 인식 변화 트렌드와 수요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진 이사는 지난 8월 설문조사를 지난해 11월 조사와 비교해서 전기차 인식 변화에 대해 발표했다. 지난 8월 조사 대상은 전국 거주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로 자기가 전기차를 보유하거나 아니면 가구 내에 전기차를 보유하면서 차량 구매에 대한 어떤 결정 권한이 구매 결정 권한이 50% 이상 있으신 소비자 중에서 10년 이내에 구매한 차량을 직접 운전자들로 표본 수는 531명이다. 이중 전기차를 보유자는 131명, 비보유자는 400명이다. 지난해 11월 조사 대상은 500명으로 그중에서 100명은 전기차 사용자, 400명은 전기차 비사용자다. 지난 8월 조사는 인천 지하주차장 화재 사고 이후 진행됐다.
우선 자동차 화재에 대한 인식 부분의 경우 지난해에는 47.7%였지만 올해는 57.6%으로 9/9% 증가했다. 전기차 보유자의 화재에 대한 인식이 크게 부정적으로 달라졌다. 지난해에는 24.2%였던 것이 올해 55%로 30.8% 증가했다. 1년 사이 두배 정도 부정적인 인식이 증가한 셈이다. 비사용자는 지난해 55.1%에서 올해 68.6%로 13.5% 증가했다. 이는 전기차 화재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설문 응답자들은 내연기관차보다 전기차가 화재 위험성이 큰 것으로 봤다. 전체 응답자 중 60.6%가 전기차가 더 위험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중 비보유자의 인식이 89.1%나 됐다. 전기차 화재 이후 소비자 인식 조사 결과, 일반적으로 전기차 정보에 취약한 전기차 비보유자가 보유자보다 불안감이 커 전기차 포비아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한 국진 이사는 “전기차 타는 사람보다 전기차 타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어떤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라면서 “ 이 설문에 참여하신 응답자의 90% 이상이 인천의 청라 지하 주차장 화재 사고를 모두 접했다고 답했기 때문에 조금 의미가 있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
청라 지하주차장 화재에 대한 사고 대형화 원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 보니 전기차 사용자는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 등의 소방방재 시설의 미작동을 가장 많이 꼽았다. 전기차 사용자 응답자 중 76.1%였다. 이어 차량이 지하 주차장에 위치해 있어 화재 진압이 어려웠던 점 39.3%, 배터리 결함으로 인한 폭발의 강도가 컸던 점 33.3%, 화재 발생 시 주변 차량에 빠르게 확산 27.4%, 화재 발생 시 소방 대응의 지연 24.8% 순이었다. 반면 비보유자는 차량이 지하 주차장에 위치해 있어 화재 진압이 어려웠던 점을 1순위로 꼽았다. 응답자 중 62.9%가 이와 같은 인식을 하고 있었다. 이어 화재 발생시 주변 차량에 빠르게 확산 55.1%, 배터리 결함으로 인한 폭발의 강도가 컸던 점 54.6%, 화재 발생시 스프링클러 등의 소방방재 시설의 미작동 52.4%, 화재 발생 시 소방 대응의 지연 23.2% 순이었다.
한 이사는 “매스컴을 통해서 보도되는 내용들이 조금은 정제되고, 좀 과학적인 근거에 의해서 좀 발표가 됐으면 좋겠다”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청라 지하주차장 화재의 책임 소재에 대해 응답자 모두 배터리 제조사에 있다고 답했다. 전기차 보유자는 31.6%, 비보유자는 39.3%였다. 이어 차량 제조사 책임에 대해선 보유자는 26.5%, 비보유자는 35.7%였다. 차량 소유자의 책임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보유자 5.12%, 비보유자 5%였다.
한 이사는 “화재의 책임은 누구한테 있느냐라고 이렇게 질문을 던졌을 때는 전기차 보유자와 비보유자 모두 배터리 제조사하고 차량 제조사는 높게 답을 했지만 좀 차이가 있었던 부분이 전기차 보유자 같은 경우 시설 관리도 잘해야 된다. 하지만 비보유자는 시설 관리는 잘 모르겠고, 전기차가 문제고 배터리 제조 배터리가 문제야 라고 하는 좀 인식 차이가 있어서 이런 부분들도 조금 어떤 홍보나 인식 개선에 좀 활용 좀 내용이 많이 반영됐으면 좋겠다”라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화재에 대한 어떤 대응 방안에 대해 설문했을 때는 공통적인 것 같다. 일단은 안전을 위해서 품질 관리, 제도강화, 관련된 R&D, 기준 강화 등 정책적 요구가 다른 요건들에 비해서 더 높게 나타났다”라고 말했다.
청라 전기차 화재 사건 이후에도 전기차 구입을 검토한 응답자는 전체 중 73.2%나 됐다. 전기차 구매 시기는 최근 5년 이내가 84.5%나 됐다. 또한 많은 응답자들이 전기차 보급이 가속화되고 활성화 돼야 한다는데 동의했다. 그 이유는 환경에 대한 부분 때문이다. 미래 세대를 위한 환경보호를 실천하기 위해서와 배출가스 규제, 탄소제로 등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기 위해서가 각각 51.6%였다.
반면, 안전 우려와 경제적인 요인 그리고 생활적인 요인 때문에 전기차 보급 가속화 미동의 의견도 있었다. 전기차 비보유자의 경우 전기차에 대한 안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가 51.7%, 충전 환경 조성이 먼저 이루어져야 해서가 40.3%였다. 전기차 보유자는 충전 환경 조성이 먼저 이루어져야 해서가 74.4%로 압도적이었다. 다시 말해 화재 등 안전 우려 그리고 충전 문제가 전기차 캐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 이사는 “전기차 캐즘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는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기업 전략”이라면서 “최근 사례를 보면 화재가 났음에도 불구하고 국산 전기차 잘 팔리고 있다. 저렴한 국산 차 잘 팔리고 있다. 사람들이 느끼는 전기차의 경제성을 좀 간과할 수는 없을 것 다”라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인식개선에 대한 캠페인, 사용 문화 조성에 대한 캠페인을 추진해야 한다”라면서 “사실 갈등의 요소는 서로 간의 눈높이가 맞지 않아서 발생하기 때문에 그 캠페인을 추진하면서 전기차 사용자와 비사용자 간에 어떤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그런 경험 공유의 장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이어 “안전한 충전 환경 마련도 필요하다”라면서 “안전한 충전 환경에 대한 부분들을 예방적인 측면이 아니라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어떤 실태 점검도 같이 진행해 주셨으면 좋겠다”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