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소비-현장] 車 전문가들, 조언하는 급발진 의심 현상 대처 방법···페달 블랙박스 반대 '이유보니'

2024-09-12     전휴성 기자
왼쪽부터 박성지 대전보건대 교수, 이호근 대덕대 교수, 최영석 한라대학교 스마트 모빌리티 공학부 객원교수 ⓒ컨슈머와이드 전휴성 기자

[컨슈머와이드-전휴성 기자] 12일 오전 10시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 룸에서 진행된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설명회에서 자동차 전문가들이 제시한 급발진 의심 현상에 대한 올바른 대처법은 양발로 브레이크를 밟아라였다. 또한 최근 급발진 의심사고와 함께 대안으로 떠오른 페달 블랙박스에 대해선 반대한다라는 입장을 내놨다. 안전에 가치를 두고 있는 소비자에게 이들의 조언이 새로운 가치소비 경험이 될 수 있다.

이날 급발진 의심사고 예방법에 대해 전문가들은 의심 현상이 발생했을 때 양발로 브레이크를 밟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호근 대덕대 교수는 브레이크를 밟았는데 속도가 줄어들지 않는다는 얘기가 많은데 최근에 실제 페달 오 조작 즉 가속 페달을 브레이크로 착각해서 발생한 사건들이 많다. 가속 페달 같은 경우는 새로 방향으로 날렵하게 돼 있기 때문에 두 발로 도저히 밟을 수 없다. 반면 브레이크 패달은 가로로 넓게 돼 있어서 양발로 밟을 수 있다. 양발로 밟으면 그 착각에서부터 벗어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급발진 대처 방향 여러 가지 있다. 시동을 꺼라, 기어를 중립에 넣어라 등 이런 부분들은 대부분 서브 추가적인 어떤 안전을 강조하는 방법이다. 가장 기본적인 건 대부분의 급발진 추정 사고의 99% 정도가 페달 오조작이기 때문에 두 발로 브레이크를 밟아야 한다라면서 두 발로 브레이크를 꽉 밟다 보면 그 중에 오른발은 가속 페달을 밟았어도 왼쪽 발은 브레이크 위에 얹을 수 밖에 없고 그러면 본인의 오류를 인정을 하게 되고 대부분의 급발진 추정 사고가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박성지 대전보건대 교수당신이 지금 밟고 있는 것이 가속페달 일 수 있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내가 잘못 밟았나, 생각하고 양발로 브레이크를 밟으면 된다라면서 급발진이 만약에 발생했을 때 내가 잘못 밟았나 그 생각만 해도 소중한 생명을 살릴 수 있다라고 말했다.

페달 블랙박스가 대안이냐는 시각에 대해 이날 자동차 전문가들은 아니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최영석 한라대학교 스마트 모빌리티 공학부 객원교수(차지인 대표이사)는 페달 블랙박스가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는 패널 블랙박스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영상은 누구나 쉽게 이해가 된다. 보면 이해가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영상의 취약점은 누구나 쉽게 이해가 되는 반면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가 있다. 지금 딥페이크로 시끄럽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에서 패널 블랙박스를 권장하고 있다. 얼마 전에 입법도 나오고 있다. 정부 관계자들이 일 참 편하게 한다는 생각이 든다. 행정은 참 편리하실 수 있다라면서 자기 돈 쓰고 마음의 평화를 가지시고 싶으신 분들은 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라고 의견을 냈다.

이어 영상은 누구나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조작하기도 쉽다. 더 문제는 자동차 회사가 의무로 장착을 시키는 것이다. 저는 굉장히 위험하다고 본다라면서 지금 블랙박스는 밖에서 막 붙인다. 각도가 틀리고 조금씩 다 다르다. 제조사도 많다. 그래서 영상을 조작하면 쉽게 찾아낼 수 있다. 그런데 제조사가 만들게 되면 각도와 위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스펙이 딱 정해진다. 영상 조작이 용이해진다. 그래서 만약에 제조사가 의무 장착한다면 현재 블랙박스 보다는 최소한 두 세 배 이상의 비용과 보안과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이걸 타겟으로 공격하는 것들이 저는 100%로 나온다고 생각한다라고 주장했다.

이호근 대덕대 교수는 페달 블랙박스 반대한다. 왜냐하면 페달 블랙박스가 사고를 줄이거나 예방할 수 없다라면서 물론 판정에 도움은 된다. 극단적으로 보면 인명 피해를 떠나서 이건 보험사 잘못이나 제작사 잘못이냐인데 왜 운전자가 돈을 들여서 그걸 판단을 해 줘야 하는지 모르겠다. 둘이 알아서 싸우라고 하면 된다. 사고를 1%라도 줄일 수 있는 쪽에는 돈을 써야 된다라고 의견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