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기반형 후보지 1곳, 중심기가지형 후보지 7곳, 근린재생일반형 희망지 20곳 등

▲ 서울시가 2단계 도시재생활성화 지역 후보지 28개소를 선정 발표했다. (자료:서울시)

[컨슈머와이드-주은혜 기자] 서울시가 2단계 도시재생활성화 지역 후보지 28개소를 선정 발표했다. 28개소에는 경제기반형 후보지 1곳, 중심기가지형 후보지 7곳, 근린재생일반형 희망지 20곳 등이다.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2단계 사업은 서울시가 주민이 주도해 지역 정체성에 걸맞은 맞춤형 도시재생사업을 하도록 4~5년에 걸쳐 최대 총 100억~500억 원 마중물 사업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13일 13개소(서울역 역세권 일대, 세운상가 일대, 창신‧숭인 일대 등)를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1단계 지역으로 선정, 현재 활성화계획 수립‧완료 단계에 있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번에 선정된 후보지들은 도시재생사업이 주민참여를 동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준비단계를 거치게 된다. 2단계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최종 선정여부는 이후 사업 실현가능성, 추진주체의 역량 등 종합평가를 통해 오는 2017년 가려진다.

선정된 후보지는 유형에 따라 ▴경제기반형 후보지(최대 500억 지원) 1곳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최대 200억 원 지원) 후보지 7곳 ▴근린재생 일반형 희망지(최대 100억 원 지원) 20개소로 분류된다.

선정기준을 보면  경제기반형’ 후보지는 광역 차원의 신 경제거점으로의 가능성, ‘중심시가지형’ 후보지는 역사문화특화 및 도심 활성화 중심지로의 잠재력을 가진 지역을 각각 대상으로 했다.  근린재생 일반형 희망지는 ▲지속적인 인구감소, 고령화 등으로 쇠퇴했으나 문화‧복지, 상권회복 가능성 등 잠재력을 보유한 지역 ▲주민 스스로 지역자원 발굴‧활용을 통해 주거환경의 질 향상, 주민공동체 활성화 등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한 노후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선발됐다.

선정지역 및 사업 추진내용을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경제기반형’과 ‘중심시가지형’ 후보지 8개소는 서울시가 도시재생의 법적요건(인구감소, 산업이탈, 건축물 노후 등)을 충족하는 자치구를 대상으로 제안을 받아 심사를 통해 선정됐다.

경제기반형 후보지 1곳은 영등포 경인로 지역(영등포구)로 선정됐다. 중심시가지형 후보지 7곳은 ▴정동 일대(중구) ▴동묘지역 일대(종로구) ▴마장동 일대(성동구) ▴용산전자상가 일대(용산구) ▴독산동 우시장 부지(금천구) ▴청량리‧제기동 일대(동대문구) ▴4.19사거리(강북구) 일대다.

서울시는 선정된 후보지에 대해 올 하반기에 공론화 과정을 통해 시민과 지역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고 재생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도시재생 시민 아이디어 공모를 6~7월 사이에 추진, 시민 누구나 후보지의 도시재생에 활력을 불어넣을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는 장으로 활용한다는 전략이다. 공모는 ‘경제기반형’과 ‘중심시가지형’ 사업으로 나누어 진행되며 후보지의 토지이용계획부터 일자리 창출까지 지역활성화를 위한 어떠한 아이디어도 제출 가능하다. 서울시 공모전 홈페이지를 통해 6월부터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지역의 공론화는 ‘민관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후보지 관할 자치구가 주축이 되어 시와 지역사회, 민간자본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전문가가 함께 사업 추진체계를 구성하고 활성화 전략을 발굴하는 ‘아이디어 캠프를 6~9월 사이에 개최할 계획이다. 시민 아이디어 공모 당선자도 아이디어 캠프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해 도시재생을 위한 시민 아이디어가 최대한 현실화 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자료: 서울시

근린재생 일반형 희망지 20개소에는 하반기에 1개소 당 8천만 원~1억2천만 원이 지원된다. 이를 기반으로 주민대상 도시재생 교육 및 홍보,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주민 공모사업, 지역의제 발굴 및 기초조사 등 주민참여 강화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우선 서울시는 주민, 지역단체 등 희망지 사업 주체에 대한 교육과 워크숍을 개최해 스스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돕는다. 분야별 민간전문가 6인을 희망지 사업 멘토로 위촉하고 민간‧지원조직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민관정책협의회를 구성, 단계별 추진전략을 논의하는 등 사업의 전 과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서울시는 희망지로 선정되지 않은 지역들을 대상으로 별도의 공모를 실시, 모임이 형성되는 등 사업 추진역량이 갖춰진 것으로 판단되는 10개 내외 지역에 각 1천만 원씩을 지원함으로써 주민교육과 소규모 공모사업 등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서울시는 오는2017년에 활성화지역으로 최종 선정되지 않은 후보지와 희망지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해 주민 참여 분위기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그동안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참여 기반과 공감대가 부족한 상황에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이 지정돼 사업이 일부 더디게 진행되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후보지 및 희망지 사업을 통해 주민 등 사업 주체들이 충분한 준비기간을 갖게 됨으로써 주민 주도의 서울형 도시재생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