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차등화 이후 좌석별 가격인상효과 430원꼴…전면 재검토해야

▲ CJ CGV의 극장 좌석별 가격 차등제는 관람료 인상 꼼수라는 주장이 제기됐다.(사진: 컨슈머와이드 DB)

[컨슈머와이드-김하경 기자] 한국소비자단체 협의회가 CJ CGV에 일침을 가했다. 지난달 3일 시행된 좌석별 관람료 세분화 서비스가 소비자의 선택 다양화가 아닌 꼼수 가격인상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는 것이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의 주장이다.

한국소비자단체 협의회는 지난달 3일부터 9일까지 7일간 CJ CGV 영등포·용산·강동·구로·왕십리 등 5개 상영관에서 10시부터 22시까지 상영되는 귀향,주토피아 등 2개의 영화좌석별 예매현황을 모니터링하고, 가격인상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 자료: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2일 한국소비자단체 협의회에 따르면, 이코노미존의 관람료가 인하되었음에도 가격이 인상된 프라임존의 예약률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영화의 이코노미존 예약률은 주중 0.6%∼1.1%, 주말 5.3%∼19.5%로, 이코노미존 전체 좌석수 1만9376개 중 예약(구매)된 좌석은 870개에 불과했다. 반면 프라임존은 3만4825개의 좌석 중 1만535명의 관객이 좌석을 예약했다. 주중 15.1%∼22.0%, 주말 45.5%∼60.3%의 예약률을 보였다.

이같은 결과가 나온 것은 CGV의 세분화된 좌석 때문이다. 이코노미존은 관람하기 불편한 앞좌석 2∼3줄로 지정되어 있고, 프라임존은 중앙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다 보니 소비자는 선택권 확대보다는 실질적인 가격인상으로 느낄 수밖에 없고, 관람료가 인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울며 겨자먹기’로 프라임 좌석을 구매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같은 근거를 바탕으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CGV의 좌석별 가격 차등화는 가격인상 꼼수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좌석별 관람료 세분화로 인한 가격인상 효과를 동일조건으로 분석해 본 결과, 이코노미존을 예약한 관객은 870명, 프라임존은 1만535명으로, 두 구역의 관객수는 약 1만 명의 차이가 존재했다. 즉, 관람료 차등화에 따라 약 1000만 원’의 추가 수익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전체 관객수로 나눠보면 점유 좌석당 약 430원의 가격인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따라서 이를 전체 극장으로 확대할 경우 연간 추가 수익이 엄청날 것은 자명한 일이다. 때문에 소비자 선택 확대를 빌미로 자리마다 가격을 나눠놓고 실질적으로는 가격인상 효과 및 수익 증대를 꾀했다며 의구심을 제기했다.

▲ 자료:한국소비자연합협의회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CJ CGV는 설득력 없고 소비자 혜택도 없는 좌석별 관람료 차등화가 아니라 매점가격 합리화를 포함한 서비스 개선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여 고객들이 영화관을 더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소비자단체는 좌석별 관람료 차등화에 대해 비판을 제기하며, 멀티플렉스 후발업체들이 유사한 방식으로 편법 가격인상 제도를 채택하는지 예의 주시할 것이라며 아울러 가격차등화라는 말로 포장한 CGV의 편법 가격인상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에 조사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