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인상에 따라 저성장 현실로 고착되나?

▲ 사진 출처 : Flickr.com

[컨슈머와이드-Patrick Jun] 제로금리 시대가 이제 중단됐다.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가 현지시간 16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기준 금리를 현재의 0~0.25%에서 0.25~0.5%로 0.25%포인트 올리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함으로써 2008년 말 금리를 제로로 낮춘 지 7년 만에 제로금리 시대의 종결을 선언했다.

연준의 금리 인상에 대한 예상은 이미 오래전부터 논의되고 언론을 통해 예측되어져 온 바 있다. 특히나 올해 연말을 넘기기 전에 인상되고 그 인상 폭이 0.25%에 달할 것임 역시 대부분 예측되어 보도되기도 하였다.

모두들의 예상대로 올해 2015년을 보름여 앞둔 시점에 금리 인상을 단행했고, 그 인상 폭 역시 예상대로 0.25%였다.

연준은 이제 미국 경기의 회복이 어느 정도 안착되었다고 본듯 하다. 융 위기 직후 10%까지 치솟았던 미국의 실업률은 지난달 5%로 떨어졌다. 성장률은 3년 연속 상승세를 보이며 올해 2.6%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재닛 옐런 연준의장은 이번 금리 인상 발표와 더불어 "이번 금리 인상은 미국 경기에 대한 자심감의 표현"이라고 말했다. 

이제 그야말로 각 나라별 통화정책에 있어 선택이 요구되는 시점이 되고 있다. 어떤 통화 정책을 선택하는가에 따라 그 경제 기반과 수출의 문의 폭이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우선 미국과 연계된 생활권의 국가들은 결국 미국을 따라 서서히 금리를 인상하는 쪽을 택하게 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일방적으로 환율 손실을 입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과 유럽은 여전히 돈을 풀면서 경기 부양을 밀어부칠 것으로 보인다. 자체 시장이 크고 그를 통한 순환이 가능하다고 믿기 때문에 미국과 상관없이 자체 시장의 활성화에 주력하겠다는 뜻이다.

이 대목에서 한국의 선택은 무엇이 되어야 할지 논란이 적지 않다. 한국은 미국과 뗄래야 뗄수 없는 경제 공동체의 모습을 띄고 있다. 거기에 강력한 내수 시장이 뒷받침 된다고 하기 어려우며, 자체적으로 주도적인 순환 시장을 구축하지 못한 터라, 미국 금리 영향에서 쉽게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것이 지배적인 전망이다.

결국 미국의 금리 인상이 서서히 진행됨에 따라 우리 역시 서서히 금리 인상을 따라 가고, 결국 미국의 저성장 기조에 동행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이미 저성장 사인이 잇따르고 있는 바 이를 돌파하기 위한 특단의 선택과 결단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