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와이드-전휴성 기자] “탄소 중립이 필요하고, 경제는 순환경제로 바꿔야 되고, LCA(Life Cycle Assessment, 전과정 평가)가 제대로 된 환경성 평가를 해야 된다” 이는 허탁 건국대학교 화학공학부 명예 교수·한국환경한림원 회장(이하 허탁 교수)이 25일 오전 10시에 진행된 ‘2023 한국P&G 환경 지속가능성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환경 지속가능성 트렌드와 LCA의 개념을 발표하면서 강조한 말이다.
이날 허 탁 교수는 “ 우리 지구는 우리 조상한테 받은 게 아니라 우리 후손들이 쓸 지구를 잠시 빌려주고 있는 것이라는 인디언 속담이 있다”면서 “우리는 지구를 생각하고 잘 사용해서 후손들이 안락하게 편안하게 살 수 있는 집을 만들어 줄 책임이 있다. 그런 과정에서 탄소 중립이 필요하고 경제는 순환경제로 바꿔야 되고 LCA가 제대로 된 환경성 평가를 해야 된다”고 말했다.

허 교수는 탄소 중립을 위한 순환경제로의 전환과 LCA의 역할에 대해 설명했다. 최근 글로벌 트렌드는 중 환경 이슈는 ▲기후변화▲에너지, 식품 등 자원 부족 ▲자원고갈 및 물가 상승 ▲자연 재해 및 환경오염 등이다. 전 세계적인 환경 이슈들이 굉장히 중요해짐에 따라서 기업과 제품, 소비자, 그리고 그 중간 역할을 하는 정부가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고 그것이 많이 변화되고 있다. 기업은 환경 제품 또는 지속 가능한 제품을 만들어내고, 사회 책임, ESG 경영 등에 나서고 있다. 정부는 탄소중립을 내세운다든지 친환경적인 산업단지를 조성한다든지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소비자는 구매하는 사람, 소비하는 사람, 버리는 사람 등 세 가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허 교수는 소비자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에는 그냥 자신한테 주어진 제품을 잘 소비하면 끝이었는데 현재는 어떤 제품을 선택해서 구매하고, 그것을 잘 사용한 다음에 어떻게 버리는지가 중요해졌다. 이런 것들이 잘 어우러져야 된다”고 말했다.

허 교수는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서는 탄소중립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산업혁명 이전 대비 산업혁명 이후에 지구의 평균 기온을 상승분을 1.5℃ 이하로 유지해야 된다. 1.5℃ 이상으로 온도가 증가되면 물 부족이 일어나고 빙하가 녹아내리고 생태계가 파괴되고 굉장히 복잡한 상황이 일어나기 때문”이라며 “ 그 1.5℃ 이하로 상승률을 줄이는 과정에서 제일 중요한 원인이 되는 탄소의 배출량을 줄여야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탄소배출을 줄여서는 기후 변화를 우리가 대처할 수 없는 절박함에 와 있다”면서 “탄소배출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탄소배출량을 제로로 만드는 것, 즉 탄소 중립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품이 원료부터 부품을 만들고 제품을 제조하고 유통하고 사용하고 폐기하는 전 과정에 걸친 탄소의 양을 우리가 쫓아가고 평가하고 줄여야 된다”고 부연했다.

허 교수는 진정한 탄소 중립을 위해서는 선형경제에서 순환경제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선형경제는 생태계에서 원료를 채취해서 제품을 사용하고 폐기하는 구조다. 한마디로 버리는 경제다. 순환 경제는 생산-소비-수거-재활용-생산-소비 과정이 순환하는 경제를 말한다.
그는 “우리 자원 문제가 굉장히 심각하다. 지구의 자원은 무한하지 않다. 새 제품 80%는 6개월 이내에 폐기물로 나온다. 현재 우리가 경제 시스템을 자원의 관점에서 보면은 버리는 경제 또는 선형 경제라고도 한다”면서 “자원이 부족한 상태에 들어갔다. 그래서 경제 시스템을 선형경제에서 순환경제로 바꿔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순환경제를 제대로 하려면 제품의 전 과정 설계 단계에서부터 생산 단계 유통 단계 소비 단계에서 재사용이 잘 되고 재생산이 잘 되도록 설계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허 교수는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 과정 평가 즉 LCA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LCA는 원료 획득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 동안 모든 원료와 모든 배출물들을 다 규명해서 정량화하고 그것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그 해석을 통해서 더 개선을 하는 그런 평가를 하는 것을 말한다.

그는 “환경오염의 감소나 개선이 아니라 이동을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포괄적으로 같이 봐야 한다”면서 “환경오염의 이동이 아니라 총체적으로는 포괄적인 평가를 해서 최적의 솔루션을 찾아나가야 한다. 그것이 전 과정 평가(LCA)다”고 말했다.
덧붙여 “전 과정 평가가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통해서 탄소 중립으로 가는 길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