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해악성의 끝판왕(?) 담배기업, ESG 경영 가능할까 ..YES OR NO
[카드뉴스] 해악성의 끝판왕(?) 담배기업, ESG 경영 가능할까 ..YES OR NO
  • 복요한 기자
  • 승인 2023.02.22 1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와이드-복요한 기자] 이번 기사에서는 연간 담배 시장 동향을 보며, 담배 시장의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보려 해요. '22년 연간 전체 담배 판매량은 36.3억 갑으로(궐련담배 기준; 1갑=20개비) '21년 대비 1.1% 증가했어요. 세부적으로 보면, 일반담배(궐련형)는 판매량이 1.8% 감소했으나 전자담배(궐련형) 판매량이 21.8%로 증가하며 전체 담배 판매량의 감소분을 상쇄했다는 평가가 있어요. 한편, 담배 수요를 코로나 이전과 담배가격 인상 전 시기와 비교해보면, 코로나 이전 대비('19년/34.5억 갑) 5.3% 증가, 담배가격 인상('15년 1월1일 인상) 전 대비 ('14년: 43.6억 갑) 16.8% 감소했습니다. 여기에 면세 담배 판매량을 감안하더라도 '22년 판매량은 코로나19 전보다 절대적으로 증가하였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실질 증감 추정치: 0.44% 증가)

담배 타입별로 살펴보면, 일반 담배(궐련)의 연간 판매량은 30.9억 갑, 전자 담배(궐련) 판매량은 5.4억 갑으로 '21년 대비 (4.4억 갑) 21.3% 증가하였습니다. 현재 액상형 전자담배와 연초 고형물 전자담배는 간접흡연 및 호흡기 질환 유발에 직접적이라는 연구를 배경으로 '21년 판매가 중단된 상태입니다. (통계자료/전자담배: 필립모리스, BAT코리아, KT&G(핏/믹스/시드), 쥴랩스코리아)

현 추세로 보면 전자담배가 기존 일반담배 시장을 잠식해가고 있으며 전자담배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사회적 분위기 등에 따라 속도가 조절될 것으로 보입니다. 담배 자체가 직접적인 사망을 불러오지 않지만, 폐가 약한 흡연자 및 간접 흡연자에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가운데 업계 내 흡연을 둘러싼 피해를 줄이고 담배의 정확한 해악성을 연구, 보완하는데 있어서 미진하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간접흡연 실외 노출평가 실험연구; 모든 전자담배의 간접흡연 가능성을 시사함/ 2022.8.25 질병관리청 이은지·나경인·김현준,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박민지 외, 연세대 건축환경연구실 박동준 외)

담배 기업이 담배를 건강하다고 홍보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하지만, 상품 특성상 과다 당분섭취와 플라스틱 및 캔 패키지를 피할 수 없는 코카콜라 회사의 제로칼로리 코크 개발 및 재활용 사례와 패션섬유 회사가 화학염색을 피하고 재활용 섬유 시장 개발 등에 투자한 사례에 비춰볼 때, (한국무역협회/필(必)환경 ESG 시대, 패션산업 친환경 트렌드와 시사점) 담배 기업 역시 진정성을 보일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대한민국의 담배 기업이 예쁘고 향긋한 담배 개발을 통한 수익 증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넘어서, 정면돌파하며 건강한 흡연문화를 창조하고 사회에 적극 환원하는 기업으로 성장했으면 좋겠습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로 551-17 (한화비즈메트로1차) 814호
  • 대표전화 : 02.6672.4000
  • 팩스 : 02.6672.4006
  • 고문변호사 : 윤경호 (법률사무소 국민생각 대표변호사)
  • 명칭 : ㈜컨슈머와이드
  • 제호 : 컨슈머와이드
  • 등록번호 : 서울 아 03166
  • 등록일 : 2014-05-22
  • 발행일 : 2014-05-22
  • 발행인 : 전휴성
  • 편집인 : 강진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우영철
  • 컨슈머와이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3 컨슈머와이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consumerwide@gmail.com
인터넷신문위원회_211104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