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 택시난 완화 대책’ 등 플랫폼에 적용…연말 수요 급증에도 수도권 심야 승차난 전반적으로 완화

정부가 발표한 ‘심야 택시난 완화 대책’등의 정책이 승차난을 해소하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사진: 컨슈머와이드  DB)

[컨슈머와이드-우영철 기자] 정부가 발표한 심야 택시난 완화 대책등의 정책이 승차난을 해소하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가 지난해 10월 수도권에서 심야시간(오후 22~ 오전 03) 일반 택시 호출료를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등의 방침을 담은 심야 택시난 완화 대책시행과 서울시의 심야 할증요금 조정, 전국 주요 승차난 지역의 택시 부제 해제, 플랫폼의 수요공급 최적화 시도 등 민관 협력을 통한 노력으로 택시 공급이 확대된 점이 배차성공률 개선에도 주효했다.

26일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지난 연말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심야 시간 택시 배차성공률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수도권 심야 시간대(오후 10~익일 새벽 3) 배차성공률은 사회적 거리두기에 이어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까지 해제된 이후 심야 택시 수요가 가장 높았던 시기인 6월 대비 16.2%포인트 개선된 것으로 집계됐다.

요일별로는 수도권의 12월 평균 심야 시간대 배차성공률이 6월과 비교해 12~22%포인트가량 상승하며, 모든 요일에서 심야 승차난 완화 대책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수요일의 경우, 12월 평균 심야 시간대 배차성공률이 6월 대비 두 배 이상 개선됐다.

또한 지난해 12월 심야 시간대(오후 10~익일 새벽 3) 택시 공급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 T 앱을 통해 집계된 지난해 12월 일평균 심야 시간대 출근 기사 수는 6월 대비 11.4% 증가했다. 반면, 탄력호출료나 심야 할증요금 조정 없이 주로 택시 부제 해제만 이뤄진 지역이 많았던 비수도권의 경우 같은 기간 출근 기사 수가 6.3% 증가하는데 그쳐 수도권과 차이가 났다.

플랫폼 역시 심야 탄력호출료를 각 지역의 수요공급 분포, 요일, 기상상황 등에 맞춰 이용객의 불필요한 호출료 부담을 최소화했더니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지역 심야 시간대 탄력호출료(일반부스터호출료)는 택시 호출 승객이 밀집된 마포구, 영등포구, 강남 3구 지역과 서울 외곽지역과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탄력호출료나 심야 할증요금 조정 없이 택시 부제 해제만 이뤄진 비수도권 5대 광역시의 배차성공률 변화폭은 수도권과 비교해 작았다. 수도권의 심야 시간대 배차성공률이 6월에서 12월 사이 16.2%포인트 개선됐지만 같은 기간 5대 광역시의 심야 시간대 배차성공률은 8.6%포인트 개선되는데 그쳤다. 수도권을 제외한 전 지역으로 범위를 넓힐 경우 배차성공률은 6.3%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러시아워(출근 및 퇴근 시간대)의 경우, 지난해 12월 한 달간 평일 기준 수도권의 출근시간대(오전 7~9) 배차성공률은 33.7%, 지난 636.4%와 비교해 2.7%포인트 하락했다. 퇴근시간대(오후 5~7) 배차성공률 또한, 지난 6월에 36.0%, 12월에 35.2%를 나타내 0.8%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