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와이드-복요한 기자] 이번 기사에서는 최근 그린 수소 허브를 목표로 하고 파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오만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을 정리했어요. 먼저, 오만은 일사량, 바람 속도 면에서 볼 때 최고의 재생에너지 입지조건을 갖췄으며 항만이 발달하고 물류 루트(아시아권)가 용이하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오만의 탄소중립 정책을 들여다보면, 오만은 포괄적인 국가 전략과 통일된 운영 계획을 모색하며 (Carbon Management Laboratory) 천연자원과 환경의 지속 가능성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프로젝트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건설(도시)·교통·산업·에너지 부문에서 대부분(95%)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는 점에 근거해(2021년) 오만 정부는 해당 산업을 중심으로 49개령을 승인하였습니다. 승인 내역은 가스 생산/사용의 효율성 향상, 천연가스연소 및 경유 감소, 탄소제거 및 배출 통제, 최적 에너지 소비(산업), 공정의 전기화, 재생가능 에너지(수소 등) 사용, 폐기물 재활용, 전기차(운송) 홍보 및 선박/비행기 배출량 통제, 바이오연료 및 수소 대체 연료 활용 가능성, 재생 에너지 사용 스마트 시티 건설 방안 등이 논의되었습니다.

오만 정부는 탄소중립과 기후 Initiative를 경제 다각화 전략의 핵심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는 물류·관광 등 비석유 부문의 투자를 통해 (탄소집약도낮음) 궁극적으로 전체 석유가스 산업의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자 하는 흐름이라는 견해가 있습니다. 오만의 석유가스 산업 수입율은 70% 입니다. 아울러 탄소중립 정책은 소득원을 다양화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적 성장의 기회를 창출하며 기후변화 영향을 줄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오만에서는 국내 에너지 생산량의 대부분(97%)을 천연가스를 이용해 생산하고 있으나 차근차근 탈탄소화 제도를 밟아 나가며(블루 수소 및 암모니아 생산 할당 증가, 재생에너지 역할 확대를 위한 투자 증가) 2030년까지 70%로 줄일 계획을 갖고 있어요. 오만은 저탄소 에너지 산업에 14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태양광 패널, 풍력 터빈, 전해조 장치 및 신재생 에너지 발전)

그린 수소 프로젝트 부지별 사업자 선정 입찰을 진행하며 오만은 기존 물류 루트를 활용한 네트워크를 겨냥해 서유럽과, 한국, 일본을 주요 수소 수입국으로 보고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글로벌 녹색 에너지 제재 및 수요를 염두에 둔 과감한 비석유 부문 투자유치와 수소정책으로 해외 의존도를 낮추려는 오만 정부의 스텝은 국제 유가 및 원자재 비용 상승으로 고민이 커진 대한민국에 시사하는 바가 큰데요, 대한민국이 무너지지 않기 위해 밟아야 할 다음 스텝은 무엇일까요?

 

저작권자 ©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