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와이드 복요한 기자] 영국 식품마켓은 식품이 다채롭고 특히 필수 식품에 해당하는 제품은 저가에서 고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가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제조처가 비교적 제한돼 있고 가격이 특정 가격대에 머무를 수 밖에 없는 우리 국민에게는 매력적인데요, 영국은 어떻게 이런 시장 체계를 형성했을까요?

2021년 영국은 세계 식량 안보 순위 3위를 차지했고 안정적인 식량공급국으로 평가 받았어요. 그간 영국 정부의 식량 공급 정책을 보면, 영국은 46%의 식량을 수입 등 외부 공급에 의존합니다. 하지만 영국은 한 국가로부터 11%이상 수입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의 경우, 미국에 21%, 중국에 15.4% 식량 수입을 의존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영국은 국내 수요와 경작량에 따라 수출입 비중을 조정하고 경작 방식이 효율화되어 국내 생산이 안정적입니다.

이렇듯 탄탄한 공급망을 지속해온 영국은 작년 1월 EU탈퇴, 러-우 사태 등 다양한 요인으로 식량 산업내 큰 변화를 겪게 되었어요.  영국내 위기 및 변화요소를 보면, 먼저 EU 탈퇴 후 1년 내 EU 식량 의존도가 8% 감소되었습니다. 세계적 에너지 공급 위기는 농기구 사용에서 화물 운송에 이르기까지 공급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의 비용을 높였고 이는 결과적으로 영국의 식량 공급망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습니다. (생산, 가공, 물류유통, 도매, 소매업) 

영국 내부 요인으로는 기후 변화 (2020년 일시적으로 겪은 폭우, 가뭄이 계기가 됨) 및 사막화 우려, 넓은 면적의 옥수수 재배로 인한 토양질 변화 문제, 음식물 미분리 배출 문제가 지적된 바 있습니다. 영국은 매년 950만 톤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는데 그 중 70% 이상이 가정에서 나오고,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온실가스는 전체 영국 온실가스 배출의 약 8%를 차지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앞으로 영국 정부는 음식물 쓰레기의 적극적인 분리배출과 음식물 쓰레기 저감을 위해 분리배출을 전국적으로 법제화할 예정입니다. (2023년) 이에 따라 2029년까지 영국 내 음식 쓰레기 양은 135만 톤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편 코로나19 시기 봉쇄 및 거리두기로 인해 인력 수급이 어려워질 당시 영국 환경식품농무부는 식량공급망 비상연락망 협의회를 통해 식량 공급망 탄력성 및 안보를 논의했고 구체화하여 식량 공급 망 중 특히 운수와 관련된 문제를 적극 지원하였습니다. 아울러 고수요 물품 구매제한정책을 실시해 모든 농가에 장비 등 필수 물품이 고르게 배분될 수 있게 하였고 운송 관련 규제 완화해 식량이 자주 그리고 빠르게 공급될 수 있도록 대처하였습니다. (주요식량 최우선 배송)

대한민국의 시선에서 영국이 모든 것에 앞서간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식량 공급망 안정을 위한 영국 정부의 꾸준한 행보는 대한민국에 시사점을 남깁니다. 우리 정부가 국민의 필요를 면밀히 살펴, 지혜롭게 일하는 정부로 성장하기를 응원합니다.

 

저작권자 ©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