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와이드-복요한 기자] 무역의존도가 높은 스웨덴은 대한민국과 유사하게 몇몇 가문이 주요 기업을 집중적으로 소유, 지배하고 있는데요, 이번 기사에서는 스웨덴의 대표 기업의 행보를 살펴보며 기업의 수익금에 대해 오너가 어떤 태도를 가져야할 지 생각해보려 해요.

스웨덴의 발렌베리 가문은 1857년 스톡홀름 은행을 설립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오스카 발렌베리/SFB) 
발렌베리 가문의 전성기는 3대 발렌베리 시기로 금융부문과 산업부문을 형제가 맡아 경영하며 기업 수를 늘렸고 이제 6대 세습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발렌베리 가문은 최전성기였던 1970년대 스웨덴 산업인력의 40%를 고용했고 스톡홀름 주식시장 총액의 40%를 차지했어요. (포트폴리오 산업체: 스웨덴 대표은행 SEB, 가전 Electrolux, 통신 Ericsson, 항공기 및 자동차 Saab, 전력 분야 세게 기업 ABB, 산업기계 Atlas Copco, 제약 Astrazeneca, Grand Hotel, Nasdaq 포함 100 기업 지분)

이처럼 기업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발렌베리 가문의 개인은 아이러니하게 부자 명단에서 이름을 찾기 어렵다고 하죠. (2014년 147대 부자 명단에 오르지 못함) 이는 가문의 부(富)가 공익재단으로 대부분 들어가는 구조 때문입니다. 발렌베리 가문은 특권보다는 의무와 책임을 중시하는 모토 아래 심지어 1980년 대 경제위기 중에도 조세 피난처를 택하지 않고 부를 사회에 환원했다는 예화가 있습니다.(이케아는 절세를 위해 본사를 네덜란드로 옮기고 발렌베리는 경제출혈을 감수하며 국민기업으로 자리를 굳힘)

현재 발렌베리 재단은 (지분 42.9%) 매년 그룹 이익금의 85%를 법인세로 납부하고 사회에 환원하는데 사용합니다. (기초기술과 학술지원; 대학, 도서관, 박물관 건립) 여기서 스웨덴 과학자치고 발렌베리 재단의 연구 자금을 받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라는 말이 나왔다고 하죠. (노벨상 위원회 거액 기부)

그럼 발렌베리 그룹은 왜 이러한 형태를 유지할까요? 이는 기업을 소유하지 않고 지배하겠다는 발상에 있습니다. (차등의결권 제도: 발렌베리 가문의 상당수 주식은 현재 일반 주식의 최대 10배에 달하는 의결권을 부여함) 해당 제도는 극심한 노사분규에 시달렸던 1938년 살트세바덴 협약에 기원합니다.

협약에는 차등의결권 제도를 도입해 오너 일가의 지배권을 인정하고 대신 기업이익금의 85%를 법인세로 납부한다는 내용을 담고, 아울러 해고된 근로자의 재교육과 직장 알선을 주선하는 정책이 규정돼 있습니다. (스웨덴 노사관계 안정의 밑거름이 됐다는 평가를 받음)

협약 체결 후 발렌베리는 노동조합을 경영 파트너로 인정해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고, 노조 지도자들과 스스럼없이 만나 의견을 나누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요. 스웨덴의 노조는 법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 기업 에서는 이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까지 부여하고 있지요. (노조와 경영 파트너 관계를 유지함)

발렌베리 그룹의 철학과 이를 실천한 믿음은 떼돈을 버는 것을 넘어서 한 국가를 세우고 유럽 내 노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었는데요, 우리 기업이 고민해야 할 것은 더 많은 돈 이상의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저작권자 ©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