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와이드-복요한 기자] 대전, 부산, 서울 등 20여 개 도시에서는 트램의 도입을 검토 중인데요, 하지만 트램 사업의 경제성이 낮게 평가되어 지체되고 있다고 하죠. 그래서 이번 기사에서는 트램의 장단점과 트램 도입시 필요한 법 개정안을 정리했어요.

먼저 트램은 공사비가 지하철의 1/8 이고, (지하철: 키로당 1200억 원, 트램: 키로당 150억 원) (지하와 고가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 대로 활용) 트램 전용신호 사용시 정확한 시간에 약속 장소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단, 버스, 승용차 등이 양보하게 됨)

둘째, 전기를 이용한 트램은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어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셋째, 트램 주행로 설치시 대중교통 이용자가 확대되고 (저상 방식으로 턱이 없어 유모차 및 휠체어 이용자, 노약자가 무리없이 이용 가능) 지하철 대비 짧은 정거장 간격으로 (500~700미터) 보행자가 증가하며 상권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단, 트램이 느리고 (표정속도: 시속 26KM) 지하철 대비 많은 사람을 수송할 수 없으며 무인화가 불가하므로 (1대당 기관사1명 필수) 경제성이 없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아울러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를 줄이는 정책과 함께 할 때 도로 위 아수라장을 면할 수 있습니다.

트램 운영 국가인 프랑스의 경우 도시 재정비사업의 일환으로 트램을 도입하였습니다. 트램 도입 사업을 계기로 시민은 새로운 방법으로 대중교통을 활용하는 방법을 터득하였고, 결과적으로 대중교통이 중심이 되는 도시 기반을 형성하였습니다.  (kdi 2017.12) 국내에서는 현재 21개 시·도에서 32개의 노선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부산, 창원, 구미. 울산, 대구, 청주, 전주, 제주, 하남, 인천, 수원, 성남, 화성, 오산, 부천, 시흥, 평택, 안성, 대전, 서울, 경기도 광주) (관광선 겸용 예: 부산 송도, CBAY, 오륙도선, 울산 태화강역, 전주 한옥마을 외)

그럼 트램을 국내 도입하려면 어떤 환경이 필요할까요?
먼저 트램을 교통수요관리 방안으로 법제화해야 합니다. (교통수요관리(TDM): 1차 오일 파동 이후 미, 영에서 도로 혼잡 개선을 위해 도입;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 도로 공간 재구조화, 주차장 유료화, 혼잡 통행료 부과)(도시교통정비촉진법 시행령에 트램(차로축소 포함)을 교통수요관리 방안에 추가) 둘째, 트램이 일반 차량과 도로를 공유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야 합니다. (도로교통법 개정)

버스, 지하철은 우리에게 익숙하고 편리한 교통매체로써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지하철은 구조 특성상 건설비용이 크고, 이동약자의 활동을 위축시키며, 버스는 속도로 인한 노인과 어린이 넘어짐 등의 사고를 피하기 어렵습니다. 트램이 빠른 시일내에 적재적소에 보급되어 대중교통이 건강한 시민만이 아닌 모두를 위한 이동수단으로 자리잡았으면 좋겠습니다.

 

저작권자 ©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