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람인 

[컨슈머와이드-주은혜 기자]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은 구직자들에게 '무기력증'이라는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다. 이 무기력증은 구체적으로 구직활동에도 입사지원에도 적극적인 액션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한 다수의 구직자들은 '구직활동 가운데 생활고를 겪고 있다'고 밝혀 어려운 취업문에, 코로나19로 인한 무기력증에, 생활고까지 삼중고(三重苦)를 겪고 있었다.  

20일 사람인이 구직자 1528명에게 ‘코로나19 이후 무기력증’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절반 이상인 68%가 ‘어떤 시도를 해도 상황을 바꿀 수 없을 것 같은 무기력증에 시달린다’고 답했다.

이들은 무기력증이 취업 활동에 영향을 미친 점으로  ‘취업 의지가 점점 사라짐’(55.3%, 복수응답)이라고 가장 많이 답했다.  이어 ▲‘적극적인 구직 활동을 하지 않음’(44.6%)▲‘자신감 결여로 입사지원 빈도수가 적어짐’(43.5%)▲‘장기간 집안에만 은둔하고 있음’(39.3%)▲‘하고 싶은 직무나, 목표 기업이 없어짐’(29.3%) 등 사회적 고립의 위험이 높은 악영향들을 들었다. 

'무기력증을 겪는다'는 응답자 중에 취업포기를 한 이들도 5명 중 1명(18.9%) 이나 됐다. 

전체 응답자의 62.6%는 현재 ‘수입이 없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경제가 더욱 어려워지면서 구직활동을 하면서 아르바이트 등을 통한 고정 수입을 얻었던 것 조차 어려워진 것이다. 실제 구직자의 63.3%는 현재 ‘구직활동을 하면서 생활고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

무기력증을 겪고 있지만, 그래도 대다수 구직자들 (86.3%)은 취업 활동 자체는 꾸준히 이어갔다. 이들이 밝힌 구직활동 시간은 '하루 평균 2.5시간'이었다.

이들은 최근 구직활동을 하면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채용 공고가 줄어들어 지원 기회가 적어짐’(57.5%, 복수응답)을 꼽았다. 계속해서 ▲‘취업 경쟁이 더 심화됨’(46.1%)▲ ‘알바 등 일상 생활비를 얻을 수 있는 수익 활동 할 수 없음’(36.9%)▲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해 채용 취소’(29.4%) 등을 들었다. 

응답자들은 장기적으로 취포자(취업포기자)를 야기 시키는 무기력증 해소를 위해  ‘사회적 정책 및 인식변화’(58.1%)가 개인의 노력보다 중요하다고 보고 있었다.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최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안전장치 마련’(55.1%, 복수응답), ‘신입지원자의 능력을 사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취업제도 지원’(49.7%) 등이라고 답했다. 

저작권자 ©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