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력증으로 구직활동 중단한 적이 있거나 중단하고 싶다는 생각한다는 응답자도 90.3%나 돼

(자료:사람인)
25일 사람인이 구직자 647명을 대상으로 ‘학습된 무기력’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어떤 시도를 해도 바뀌지 않을 것 같아 미리 포기하는 ‘학습된 무기력’을 겪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82.5%에 이르렀다(자료:사람인)

[컨슈머와이드-주은혜 기자] 입사지원을 해봐도 자꾸 떨어진 경험을 가진 구직자 중 의기소침 정도가 아니라 반복되는 실패에 무기력함을 느끼게 돼  취업의지까지 없어지는 경험을 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25일 사람인이 구직자 647명을 대상으로 ‘학습된 무기력’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어떤 시도를 해도 바뀌지 않을 것 같아 미리 포기하는 ‘학습된 무기력’을 겪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82.5%에 이르렀다. 

이들은 무기력을 느끼는 원인으로  ‘반복되는 불합격으로 인한 자괴감’(48.1%,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43.6%)▲‘남들과 비교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 때문에’(38.4%)▲‘노력해도 극복할 수 없는 상황이 지속돼서’(38.2%)▲ ‘경쟁이 너무 치열해서’(24.2%) 등 이유를 들었다.

이러한 학습된 무기력은 구직활동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53.9%는 ‘취업의지가 점점 없어진다’(복수응답)고 밝혔으며 ▲‘아무것도 안하고 집에만 있는 시간이 늘어났다’(47.6%)▲‘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지 않음’(45.9%)▲‘자신감 결여로 입사지원 빈도수가 적어짐’(35.4%)▲ ‘하고 싶은 일이나 입사하고 싶은 기업이 없어짐’(28.1%) 등의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러한 무기력증으로 구직활동을 중단한 적이 있거나 중단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는 응답자는 무려 90.3%나 돼 심각한 수준이었다. 

실제로 지난 3월 발표된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비경제활동 인구 중 ‘그냥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02만명에 달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 된 이후 최대 수치로 20대에서 ‘그냥 쉬었음’으로 분류되는 사람은 10년전에 비해 14.6%가 늘어났다.

‘학습된 무기력’은 장기화된 경기침체, 사회양극화, 청년실업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무기력을 느꼈던 구직자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노력’(44.2%) 보다는 ‘사회적 정책 및 인식변화’(55.8%)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저작권자 © 컨슈머와이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